지난해 말 가계 빚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로 가계 빚 증가 속도가 둔화했지만, 소득 증가세보단 빨랐다. 특히 가계부채 중 은행 빚 증가세가 가팔랐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중 가계신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신용 잔액은 전년보다 83조8천억원(5.8%) 증가한 1천534조6천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은행이나 보험, 대부업체, 공적 금융기관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가계부채를 의미한다.
다만 부채 증가율은 2013년(5.7%)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가계신용은 기준금리가 최저 수준으로 내려가고 부동산 규제가 완화된 2015년(10.9%)과 2016년(11.6%) 폭증한 뒤 2017년(8.1%)부터 낮아지는 추세다.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 폭이 낮은 건 부동산 규제로 대출 제한이 강화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해 9월 다주택자의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을 막았다. 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도입해 돈줄을 죄었다.
부문별로는 가계대출 잔액이 1천444조5천억원으로 74조4천억원(5.4%) 증가했다. 다만 예금은행 가계대출은 713조1천억원으로 52조4천억원(7.9%) 증가했다. 이는 2, 3년 전 분양받은 아파트 입주자의 잔금과 전세자금 대출 수요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여전히 소득보단 빠르게 늘고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가계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2017년(4.5%)과 비슷한 점에 미뤄보면 가계가 벌어들인 소득보다 가계부채 증가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 정부, '4년 연임 개헌·권력기관 개혁' 등 123大 국정과제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