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창원 톡톡지역문화연구소장 "2·28을 시민운동으로 확장한 것은 매일신문 등 언론의 공"

정치선동에 학생 이용 만연하던 당시, 매일신문이 정부 권력 비판에 앞장서 시민운동 여론 주도

박창원 톡톡지역문화연구소장.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박창원 톡톡지역문화연구소장.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2·28 민주운동이 대한민국 민주화의 효시가 된 것은 매일신문 등 지역 언론이 기폭제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매일신문은 1955년 최석채 주필의 '학도를 도구로 이용하지 말라'는 사설 이후 이어진 권력비판 보도를 통해 2·28민주운동을 '학생 항거'에서 '대구 시민운동'으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박창원 톡톡지역문화연구소장은 2·28 민주운동 제 59주년을 앞두고 내놓은 '언론의 보도사례로 본 2·28 민주운동의 확장성'이라는 발제문에서 "당시 사회 저변에 퍼져 있던 이승만과 자유당 독재체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저항을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으로 확산시키는데는 매일신문의 역할이 컸다"고 밝혔다. 박 소장은 오는 27일 열리는 '대구정체성 시민포럼'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발제를 맡는다.

그는 "2·28민주운동 5년 전인 1955년 벌어진 대구매일신문(당시 사명) 최석채 주필 필화사건은 언론이 부당한 국가권력에 맞선 사례로, 권력에 항거한 2·28 민주운동의 싹을 틔웠다"고 했다.

1955년 9월 13일 자
1955년 9월 13일 자 '학도를 도구로 이용하지 말라'는 사설로 구속 기소된 최석채 주필이 제2회 공판에서 당당한 자세로 심문에 응하고 있다. 심문에서 재판장은 "그런 사설을 안썼던들 테러행위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 아닌가?" 라는 질문에 최 주필은 "그런 논법으로 한다면 그날 학도를 동원하지 않았던들 그런 사설을 쓸리 없고, 임병직 대사가 그날 대구에 오지 않았던들 그런 학생동원이 없었을 것이니 결국 임병직 대사가 책임져야 된다는 이론이 아닙니까?" 라고 답했다. (1955.11.26. 배상하)

당시 매일신문은 9월 13일자 '학도를 도구로 이용하지 말라'는 사설을 통해 학생들을 수시로 정치행사·관제데모에 동원하는 것을 비판했다가 대낮에 괴한들로부터 테러를 당했다. 사건 사흘 뒤에 최석채 주필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됐다.

1955년 9월 13일자 최석채 매일신문 주필이 쓴
1955년 9월 13일자 최석채 매일신문 주필이 쓴 '학도를 도구로 이용하지 말라' 사설 원본. 매일신문 D/B

박 소장은 "이후에도 매일신문은 이승만 정권의 신 국가보안법을 무효화해야 한다는 사설(1959년 1월 22일 자) 등 권력 비판 보도를 계속해 민주국가를 향한 여론을 형성했다"고 밝혔다.

2·28 이후 기사도 눈길을 끈다.

박 소장은 "1960년 5월 14일자 매일신문에 보도된 '오임근 경찰국가 인정' 사건은 한국 경찰이 만능의 권력을 휘둘렀다는 것을 관리의 입으로 확인하면서 국민적 공분을 확산시킨 사건이었다"고 말했다.

3·15 의거와 4·19혁명 이후 경북지역 부정선거 처벌 과정에서 경찰에 체포된 오임근 당시 경북도지사는 "그 때 대한민국은 경찰국가였다"고 매일신문 기자에게 실토했다.

박 소장은 "대구에서 시작된 2·28 민주운동의 불길은 마산에서는 3·15 의거로 서울에서는 4·19 혁명으로 옮겨 붙었다"며 "이 성과는 학생들의 용기를 이끈 교사들, 학생들의 저항을 지지한 지역주민, 일찍이 권력 비판에 길을 터준 언론의 합작품"이라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