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성 공무원 비율 5년 새 43.2→46.5%로 3.3%포인트 증가

2018 공무원총조사…대졸이상 비율도 70.3→76.0%로 5.7%p ↑
공무원 평균연령 43세·평균 재직기간 16.2년
맞벌이 비율 51.4%·평균 자녀 숫자 1.88명

우리나라 공무원은 평균 27세에 신규 임용됐으며 평균연령은 43세, 임용 후 평균 재직기간은 16.2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46.5%로 2013년(43.2%)보다 3.3%포인트 늘었다. 이는 최근 5년간 공채 합격 여성이 지속해서 증가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인사혁신처는 '2018년 공무원총조사'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총조사는 공직 내 인적자원의 변동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5년 주기로 실시된다.

지난해 8월 기준 전체 공무원은 106만8천629명이지만, 조사는 휴직자 등을 제외한 102만1천932명이 대상이었고 이 중 97만4천485명(응답률 95.3%)이 참여했다.

9급에서 5급으로 승진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24.4년으로, 5년 전과 비교해 0.8년 단축됐다. 공직 평균 재직연수는 16.2년으로 5년 전(16.8년)보다 감소했지만, 여성 공무원의 평균 재직연수는 5년 전(15.4년)보다 소폭 증가한 15.6년으로 나타났다.

이는 50대 이상 여성 공무원 비율이 2013년 27.5%에서 지난해 34.1%로 높아지는 등 장기 재직하는 여성 공무원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공무원의 82.1%는 기혼자이고, 기혼자 가운데 맞벌이 비율은 51.4%였다. 맞벌이 비율은 교육공무원이 59.9%로 가장 높으며, 경찰·소방공무원의 맞벌이 비율이 39.0%로 가장 낮았다. 기혼자 중 배우자가 공무원인 경우는 27.1%였다.

공무원의 노후 대비 수단은 공무원연금(43.5%)이 가장 많아 5년 전(43.6%)과 비슷했다. 영어 사용 가능 공무원은 2013년보다 31.7% 늘어난 66만5천여명, 중국어는 70.7% 늘어난 5만4천여명, 일어는 47.5% 증가해 11만5천여명으로 조사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