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 위기로 내몰리고 나서야 북한은 분주히 움직였으나 끝내 돌아선 미국의 마음을 되돌리진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상회담 하루 전날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막바지 조율을 위해 카운터파트인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과 만나길 희망했으나 외면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6일(현지시간) 미 CNN방송에 따르면 북한은 정상회담 이틀째인 지난달 2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상 밖으로 회담장에서 걸어 나가자 북한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메시지를 미 대표단에 황급히 전달했다.
미국과 북한의 관리들은 영변 핵시설에 대한 '공동의 정의'를 놓고 실랑이를 벌여왔으며, 이에 미국은 "분명히 해달라"고 요구했고, 최 부상은 서둘러 되돌아가 "그곳에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는 김 위원장의 대답을 가져왔다. 그러나 미 대표단은 전혀 감명을 받지 않았고 협상 재개를 원하지 않았다. 그리고 몇 시간 후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를 떠났다.
또 미국의 발걸음을 붙들기 위한 '마지막 시도'에 전력을 쏟았던 막판과 달리 회담 초기만 해도 북한은 여유를 부린 것으로 보인다. 수차례의 실무협상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실행조치와 상응조치를 둘러싼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자, 폼페이오 장관은 김 부위원장에게 고위급 회담을 제안했다. 정상회담 개막 하루 전인 지난달 26일이었다. 그러나 김 부위원장이 만나려 하지 않아, 폼페이오 장관은 회동을 기대하며 몇 시간을 기다리다가 결국 좌절한 채 잠자리에 들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