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2일(현지시간) '대북 추가제재 철회 지시' 트윗을 놓고 여당인 공화당 내에서도 역풍이 불었다. 정상적 의사결정 절차를 무시한 대통령의 '독단적 결정'이 비판의 한 축이라면 다른 한 축에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대북 압박 기조가 느슨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자리 잡았다.
미 재무부가 하노이 핵담판 결렬 이후 첫 대북 관련 제재를 단행한 다음 날인 22일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추가제재 철회를 지시했다고 트윗을 올렸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모호하고 불분명한 표현으로 철회 대상 제재가 무엇인지 혼선이 빚어졌고, 뒤늦게 '전날 재무부가 한 제재가 아니라 며칠 뒤 예정된 대규모 제재를 취소한 것'이라는 당국자들의 해명이 언론 보도로 전해졌다.
상원 외교위 소속 마코 루비오(플로리다) 의원은 24일(현지시간) NBC 방송 '밋 더 프레스'에 출연,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트윗 파문'이 앞으로 이뤄질 대외적 조치들에 대한 국제적 불활실성을 가중시켰다고 말했다고 의회 전문매체 더 힐 등이 보도했다.
앞서 상원 외교위 산하 동아시아·태평양소위의 코리 가드너(공화) 위원장은 지난 22일 올린 트위터 글에서 "최대 압박은 북한의 조력자들을 제재하는 걸 의미한다"며 "재무부가 옳았다. 미국 법이 요구하는대로 제재는 부과돼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