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단독]포항지진 촉발한 지열발전 실증시설, 특정학교의 특정학과 인맥이 장악

지질 관련 전문가는 모두 배제
특정인맥의 실험실로 전락

20일 포항시 북구 흥해읍에 위치한 지열발전소가 가동을 멈춘 채 서있다. 포항지열발전소에서 약 600m 떨어진 곳에 한동대학이, 또 2㎞ 거리에는 5만여 명이 거주하는 대단지 아파트와 주택이 밀집해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20일 포항시 북구 흥해읍에 위치한 지열발전소가 가동을 멈춘 채 서있다. 포항지열발전소에서 약 600m 떨어진 곳에 한동대학이, 또 2㎞ 거리에는 5만여 명이 거주하는 대단지 아파트와 주택이 밀집해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포항지진을 촉발한 지열발전 실증시설이 지질 관련 전문가 한 명 없이 대부분 에너지자원을 전공한 특정 대학의 특정 학과 인맥들로 채워져 운영되면서 지진 발생 가능성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들은 지열발전 실증시설 연구 및 운영과 관련해 땅을 진단하고 판단하는 대신 에너지자원 관련 논문 발표 등 성과를 내는 데 급급해 지진 가능성을 방기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11·15지진 지열발전공동연구단(이하 공동연구단) 등에 따르면 서울대, 넥스지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당시 지열발전 실증시설 건설과 운영에 관계한 관련자 중 단순 시추작업만 한 넥스지오를 뺀 나머지 3개 기관을 이끈 인사 모두가 특정 대학 특정 학과 선·후배로 확인됐다.

이들은 지열발전 실증시설 운영 시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서도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기술개발 초기단계에서 스위스 바젤 사례(지열발전에 의한 지진)를 알고 있으면서도 이를 묵과했다는 것이다.

특히 지열발전 실증시설 운영에 따라 지진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운영을 멈추지 않았고, 되레 이를 기반으로 얻은 연구업적을 국제학술지에 게재하는 행위도 서슴치 않았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게다가 이들은 이런 가운데 지열발전 실증시설 기술적 지원을 내세워 과제를 더 만들어 선·후배를 밀어주는 연구를 진행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공동연구단 측은 "이들은 1천억원에 이르는 지열발전 실증사업 자금을 잃을까봐 지진과의 연관성을 말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포항시민을 '지진 마루타'로 여긴 이들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묻고, 이 사업에 특정 대학 및 학과가 장악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