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3월 이후 인플루엔자(독감) 의심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영유아 보육시설, 학교 등 집단시설과 가정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12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인후통을 보이는 인플루엔자 의사(의심)환자는 지난 겨울 이후 감소하다 3월부터 증가세로 전환했다.
외래환자 1천명당 의사환자는▷3월 3∼9일 9.1명 ▷10∼16일 12.1명 ▷17∼23일 20.3명 ▷24∼30일 27.2명 ▷ 31∼4월 6일 32.2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인플루엔자 유행기준은 외래환자 1천명당 6.3명이었다.
연령별로는 13∼18세 의사환자 비율이 가장 높고, 7∼12세가 다음으로 높아 집단생활을 하는 초·중·고교생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18세 외래환자 1천명당 의사환자는 3월 마지막 주 71.6명에서 4월 첫째 주 90.0명으로 급증세다.
'독감'으로도 불리는 인플루엔자는 일반적인 감기와 다르다.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과 더불어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를 예방하려면 올바른 손씻기, 기침예절 실천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며 "고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 등 인플루엔자 의심증상이 있으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동·청소년이 인플루엔자에 걸렸을 경우, 집단 내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증상발생일로부터 5일이 지나고 해열제 없이 체온이 회복된 이후 48시간까지는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학원 등에 등교를 하지 말아야 한다.
노인요양시설 등 고위험군이 집단 생활하는 시설에서는 직원과 입소자에게 예방접종을 하고, 입소자의 인플루엔자 증상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타미플루와 같은 오셀타미비르 계열 약품의 부작용(환각, 섬망 등) 논란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 상황이지만 의료인은 진료 시 충분히 설명하고, 환자 보호자는 복약 후 적어도 2일간 아이가 혼자 있지 않도록 하고 이상행동 발현을 관찰해야 한다"고 권유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