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허둥대며 공조 않은 행정이 부른 포항 에이즈 후폭풍

포항의 한 접객 업소에서 일하던 불법 체류 신분의 40대 외국인 여성이 지난 3일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AIDS)으로 숨지면서 여러 문제점이 불거졌다. 특히 관할 포항 남구보건소의 초동 대처 실패에 따른 후폭풍이 만만찮다. 관리 가능한 에이즈 대처조차 제대로 못해 허둥댈 만큼 허술했으니 한심하기까지 하다.

보건소의 초기 대처 실패는 뼈아프다. 보건소는 사망 여성이 여성 보호기관을 통해 지난달 26일 에이즈 검사를 의뢰했지만 '익명'이란 이유로 퇴짜를 놓는 바람에 여성의 행적 등을 파악할 절호의 기회를 놓쳤다. 여성이 포항의 한 병원에서 양성 반응 결과를 얻자 거처를 곧바로 서울로 옮겼고 이후 지난 1일 에이즈 확진 판정과 함께 3일 사망한 때문이다.

문제는 이어졌다. 3일 경찰의 시신 인계에도 보건소와 경찰,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의 신속한 공조를 통한 신원과 행적은 파악되지 않았다. 기관 간 공조와 정보 공유를 위한 조치가 없어서다. 보건소가 9일에야 급히 관련 기관 회의를 했지만 2, 3차 피해를 막을 실효적인 조치는 없었다. 이로 인해 여성과 업소를 둘러싼 불안과 공포는 증폭될 수밖에 없었다.

관련 기관의 말 바꾸기와 엉성한 보건 행정은 혼란과 불신감을 더했다.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의 숨진 여성의 입국 기록과 마지막 행적 파악 주장은 사실과 달랐다. 보건소는 에이즈 의심 문의 전화에 대처 요령조차 알려주지 못했다. 숨진 여성이 일했던 업소와 같은 접객 장소의 불법 영업 실태 파악도 되지 않았다.

숱한 문제점이 드러난 이번 일의 교훈은 클 수밖에 없다. 먼저 보건 당국과 관련 기관의 유기적인 업무 협조나 공조의 허술함이 증명됐으니 이의 점검이 필요하다. 또 에이즈는 물론 예상할 수 없는 질병까지 감안한 보건 당국의 준비·사후 행정이 절실하다. 이번 사건으로 단속 사각지역 업소 관리도 그냥 둘 수 없게 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