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석기 "원해연, 부산 의식한 정무적 판단"

"경주에 중수로 해체연구소 배치는 불만 잠재우기용"

김석기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매일신문 DB
김석기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매일신문 DB

정부가 15일 경수로 원자력발전소해체연구소(원해연)를 부산·울산 접경지에 건설하고 경주에는 원해연 일부인 중수로 해체연구소를 두기로 하자, 김석기 자유한국당 국회의원(경주)은 "문재인 정부가 부산 표를 의식한 정무적 판단을 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김 의원은 이번 결정에 항의하는 뜻에서 이날 부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 행사에 불참하고 입장문을 발표하는 등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김 의원은 이날 매일신문 기자와의 통화에서 "경주에는 원전은 물론이고 원전의 시작부터 끝인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까지 있어 누가 봐도 원해연 최적지인 만큼 분리 배치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경주는 2014년부터 원해연 유치를 위해 힘썼다. 26만 시민 중 22만5천명이 유치 희망 서명을 할 정도로 갈망이 컸다"며 "정권이 바뀌고 느닷없이 부산·울산 접경지를 결정하고 경주에 중수로만 주는 것은 불만 잠재우기용이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정녕 분리 배치할 생각이라면 경수로 원해연과 중수로 원해연에 같은 지원이 이뤄져야 하며, 오랜 시간 원전의 위험을 안고 살아온 경주시민을 위해서라도 정부는 '방폐물통합안전센터'와 같은 핵폐기물 관련 안전 시스템도 구축해 줘야만 할 것"이라고 했다.

국내 원자력발전소 30기 가운데 경수로 원전은 26기, 중수로 원전은 경주에 있는 4기가 전부이다.

김 의원은 그동안 국내 원전의 절반에 가까운 14기가 몰려 있는 경북 동해안, 그 가운데 경주가 원해연 최적지란 입장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경주에는 원전 운영을 맡은 한국수력원자력과 방사성폐기물을 관리하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원전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한전KPS 원전종합서비스센터가 모여 있는 데다 김천에는 원전 설계기업인 한국전력기술이 있어서다.

15일 오후 국내 최초 원전 해체 대상지인 고리 1호기가 있는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15일 오후 국내 최초 원전 해체 대상지인 고리 1호기가 있는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양해각서(MOU) 체결식'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 이선호 울주군수, 송호철 울산시장, 오거돈 부산시장, 성윤모 산업부 장관, 정재훈 한수원 사장, 강길부 국회의원, 이철우 경상북도 도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