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에 폭발물 신고가 잇따르면서 시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24일 오후 1시 34분쯤 '문경시내 교회 6곳에 폭탄을 설치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경찰과 군부대 등이 대거 출동했지만 폭발물을 찾지 못했다.
지난달 10일 문경에서 벌어진 폭발물 허위신고 소동(매일신문 3월 12일 자 8면) 이후 6주 만이다. 당시 주민 900여명이 대피하고 경찰, 소방, 군인 등 200여명이 출동하는 해프닝이 벌어졌지만 허위 신고자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23, 24일 다시 문경에서 폭발물 신고가 잇따라 접수, 경찰 등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경찰은 24일 신고에서 언급된 6곳의 교회 거주인들을 긴급 대피시키는 동시에 즉각 발신자 추적에 나섰지만 위치 추적에 실패하는 등 이번에도 수사망을 좁혀 나가지 못하고 있다.
이날 신고로 문경경찰서, 문경소방서는 물론 경찰특공대, 대구경찰청 폭발물 분석팀, 특수구조대 소방관, 군부대 폭발물처리반 등 200여명과 폭발물 탐지견까지 출동해 폭발물 수색에 나섰다.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경북소방본부 119 홈페이지에 익명으로 신고된 문자 내용은 '설치한 폭탄은 원격으로 작동될 것이며 사람을 해하기 원치 않으니 건물 내에 사람이 있다면 대피시키기 바랍니다. 구조대원도 다치는 것을 원치 않으니 사람들 대피 후 신속히 대피하세요' 등이다.
앞서 23일 오후 11시 30분쯤에도 문경시 흥덕동 한 아파트에 폭발물이 설치됐다는 허위신고가 접수돼 주민 수백명이 한밤 중에 대피하는 소동을 빚었다.

문경경찰서 관계자는 "범인이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는 전화로 신고하지 않고 특정 인터넷 사이트를 우회해 119 홈페이지에 익명으로 문자 신고를 했다"며 "IP주소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나와 위치 추적이 쉽지 않다"고 했다. 또 "119 홈페이지를 통한 문자 신고의 경우 실명 확인 없이 누구나 익명으로 할 수 있다 보니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다"며 "시스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문경에서는 비슷한 일이 지난 2017년 11월(매일신문 2017년 11월 11일 자 6면 등)에도 있었다. 당시 문경의 한 고시원에 폭발물이 설치됐다는 허위신고가 문자로 접수돼 경찰과 군 당국이 출동하는 소동을 빚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