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부모를 위한 교육 Q&S] "그럼 뭐 사줄 거야?"라는 아이, 이렇게 해 보세요.

Q. 언제부터인가 작은 일에도 보상이 없으면 시큰둥해하는 아이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제가 어떻게 하라고 조언하려고 하면, 아이는 "그럼 뭐 사줄 거야?", "그럼 뭐 해줄 거야?"라고 묻습니다. 초등학생인 자녀에게 이번 시험 성적이 좋으면 원하는 것을 사주거나, 목표 달성 스티커를 모으면 요구를 들어주는 식으로 아이에게 보상을 줬습니다. 아이는 나름의 목표를 세우게 돼 더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러면서 좋은 결과들을 얻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항상 보상 카드를 먼저 내미는 내 아이, 이대로도 괜찮을까요?

S1. 초등학생의 발달 특징을 이해하라.

아이의 어떤 행동에 대해 무언가를 사주거나 칭찬 스티커를 주는 것은 일반적인 보상 방법입니다. 많은 어린이에게 이러한 보상제도는 매우 효과적인데요. 이는 어린이의 발달 단계상 매우 자연스러운 행동 중 하나입니다.

초등학생 대부분은 인지 발달 단계상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합니다. 이 단계의 아이들은 논리적 사고를 시작합니다. 하지만 구체적 사물, 그림 등 즉각적이면서 직접 경험한 것을 중심으로 사고를 하는 경향이 큽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바른 행동이나 습관을 실천해 얻게 될 무형적, 장기적인 이익을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보상중독'의 상황이 아니라면, 내 아이의 행동이 그 시기에 당연하다는 걸 이해하는 게 문제 해결의 첫걸음입니다.

S2. 아이와 보상 원칙을 공유하라

보상 탓에 아이의 행동에 문제가 생겼다고 보상을 바로 중단하는 것은 오히려 아이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보상의 궁극적 목적은 대부분 추상적이고 시기적으로도 먼 미래에 있습니다. 보상은 아이의 노력과 목적 사이에서 포기하지 않기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합니다. 보상하되 이런 이야기를 아이와 공유하고 보상 원칙도 알려줘야 합니다.

가령 "OO가 이 과제를 모두 마치면, 네가 좋아하는 게임을 엄마가 사 준다고 약속했지? 하지만 과제를 다 해내는 것이 게임을 위한 게 아니란 걸 알았으면 해. 주어진 시간에 과제를 다 해내는 것은 네가 어떤 과제에 집중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해 준단다. 그 좋은 점은 나중에 나타나기 때문에 '게임'이라는 '중간 칭찬'을 주는 거야."라고 말해봅시다.

S3. 내적보상의 기쁨을 알게 하라

더불어 아이의 긍정적인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서는 반드시 칭찬해 주십시오. 그 칭찬은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것이 좋습니다. 칭찬이라는 내적보상이 주는 기쁨을 알게 하는 게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네가 오늘 저녁을 먹고 그릇을 정리해 주니까 엄마가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네. 정말 다 컸구나", "아침에 예의 바르게 인사를 하고 헤어지니까, 아빠가 회사에서 오늘 하루 일이 너무 잘 된 것 같아. 정말 고맙다" 등 아이가 어떻게 행동해 칭찬을 받게 됐는지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칭찬을 해 주세요. 그 칭찬은 행동이 일어난 시기에 가까울수록 효과가 클 수 있습니다.

부모님은 내 아이의 칭찬할 행동보다 아쉬운 행동이 더 많이 보인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이의 행동에 대한 지적보다 칭찬을 한 번 더 해 주는 것은 어떨까요? 적어도 하루 세 번 아이에게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칭찬하기를 다짐해 보십시오. 이때 중요한 것은 어떤 행동에 대한 칭찬인지 알 수 없는, 무성의한 칭찬이어서는 안된다는 겁니다. 제대로 된 칭찬으로 내적보상의 기쁨을 알게 된 아이들은 외적보상에 더 이상 집착하지 않게 됩니다.

S4. 보상에 대한 부모 생각을 바꾸자

마지막으로 아이가 바라는 것이 있었을 때 반사적으로 어떤 조건을 내세우지는 않았는지, 아이의 바람에 부모의 바람을 결부시켜 아이를 회유한 것은 아닌지 떠올려 보세요.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줄 것인지만 고민해야 할 문제인데, 부모가 원하는 방향으로 아이를 훈육하는 방법이 된 건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원하는 것은 부모님이 원하는 어떤 것을 할 때만 얻을 수 있다'는 생각에 익숙해지면, 아이는 깊은 보상중독에 빠지게 됩니다. 그러고 보니 아이의 보상중독은 부모의 양육 태도에서 시작된 것일지도 모릅니다. 부모의 사고방식을 개선하는 것, 건전한 보상을 위한 마지막 방법입니다.

대구시교육청 학부모고민 들풀교사모임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