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5년 새 근로자 1만2천 명 줄어든 구미, 위기 해법 찾고 있나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공동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올 들어 산단 내 공장 가동률이 55.5%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고 전체 근로자 수도 9만 명 선이 무너졌다. 올해로 50년을 맞은 구미 국가산단의 급속한 퇴조는 가뜩이나 어려운 지방도시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한때 구미는 '내륙 수출 기지' 명성과 함께 전자·기계·섬유 등 수출 진흥에 크게 이바지했다. 2013년의 경우 연간 367억달러의 사상 최대 수출고를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공장 이전과 산업구조 변화 등 대내외 여건이 크게 바뀌면서 지난해는 고작 259억달러에 그쳤다.

이런 구미 국가산단의 위축은 삼성·LG 등 대기업의 경영 전략 변화가 주된 요인이다. PC와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주력 품목이 외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해외나 수도권으로 공장을 옮기자 협력 업체들도 덩달아 구미를 떠나고 있어서다. 2014년에 80%가 넘던 공장 가동률이 최근에는 거의 반 토막이 났다. 올해 2월 산단 전체 2천448곳 업체 중 정상적으로 가동 중인 곳은 약 1천350곳에 불과하다.

게다가 대기업이 떠난 빈 자리를 메우던 50인 미만 업체의 가동률이 33.7%에 불과해 구미 경제가 총체적 난국에 빠져들고 있음을 말해준다. 국가산단 전체에서 이들 소규모 기업의 비중이 무려 88%에 이르는데 3곳 중 2곳 꼴로 먼지만 날린다는 것은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제조업이 떠받쳐온 구미 경제의 침체는 결국 탈(脫)구미 현상을 부를 수밖에 없다. 일자리를 찾아 젊은이들이 대거 이탈하면 구미시 위상 추락과 도시 활력 저하는 예정된 수순이다. 정부와 구미시는 지금이라도 최근 5년 새 근로자 수가 1만2천 명이나 감소한 사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경쟁력 있는 역외 기업 유치는 물론 창업 생태계 조성 등 중장기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대로 방치하다가는 '러스트 벨트'도 피할 수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