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G 유치 경쟁 과열로 불법보조금 확산…100만원짜리 휴대폰도 '공짜'

불법보조금 지급 규모 기존 20~30만원대에서 50만원 이상으로 확대
업계에서는 5G 초기 가입자 선점 경쟁을 문제로 지적

5G 시장 선점을 노린 휴대폰 불법 보조금 살포 등 과열 현상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5G 시장 선점을 노린 휴대폰 불법 보조금 살포 등 과열 현상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이동통신 3사의 5G 가입자 모집 경쟁이 불법보조금 살포로 번지고 있다. 대구 일부 휴대폰 판매점에서는 통신사를 옮기는 조건으로 100만원 넘는 5G 휴대폰을 공짜로 판매하는 등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12일 대구 중구 한 휴대폰 판매점의 비공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공짜폰 대란'이라는 글이 게시됐다. 통신사를 옮기고 6만원대 요금제를 반년 이상 유지하는 조건만 지키면 최근 출시된 5G 휴대폰을 별도 기기값 없이 살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게시물에서 휴대폰 구입에 필요한 현금은 '온도'라는 은어로 통했다. 출고가 139만7천원인 갤럭시 S10 5G 온도는 '35도'에 불과했다. 이통사가 공식 지급하는 공시지원금 48만원을 빼더라도 50만원이 넘는 불법보조금이 살포된 셈이다. LG전자가 이달 10일 출시한 5G폰 V50 씽큐(출고가 119만9천원)는 아예 '공짜폰'이 됐다.

업계에서는 이번 '휴대폰 대란'은 초기 5G 시장 선점을 노린 이통 3사의 경쟁이 지나치게 과열된 탓이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지난 3월 해당 커뮤니티에서 20만~30만원대에 판매되던 휴대폰 상당수가 13일 기준 공짜로 풀렸다. 20만~30만원대였던 불법보조금 지급 규모가 50만원 이상으로 커졌기 때문이다.

대구 동구의 한 휴대폰 판매점 관계자는 "이통사 입장에서 초기 망 설치 이후 서비스에 드는 비용은 거의 없다. 가입자 유치가 직접 매출로 연결되는 상황"이라며 "불법보조금도 결국 통신사 부담이다. 일부 소비자는 휴대폰을 저렴하게 구입해 좋겠지만 결국 요금제 인상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방송통신위원회는 13일 이통 3사 단말기 유통 담당 임원들과 회의를 갖고 시장 과열을 계속 초래할 경우 과징금 부과 등 처벌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