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격화되는 등 불안한 경제 상황이 이어지면서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금 거래가 늘고 금값이 오르는 가운데 금에 대한 직접 투자와 함께 금통장, 금펀드 등 간접투자 상품이 부각되고 있다.
한국거래소 금시장에 따르면 지난 17일 종가기준 1g당 금값은 4만9천660원으로 5만원에 육박했다. 이를 금 한 돈(3.75g)으로 환산하면 18만6천225원이다. 이달(2~17일) 금 1g 평균값은 4만8천894원으로, 지난달 4만7천456원보다 3% 올랐다.
앞서 지난해 12월 평균 종가는 4만5천136원(한 돈 16만9천263원)이었다. 이후 올해 1월 4만6천61원, 2월 4만7천705원으로 각각 상승했다. 금값은 3월(4만7천497원)과 4월(4만7천456원)에 주춤하다가 이달 14일 4만9천원대를 넘어서는 등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 거래량도 증가했다. 한국거래소의 이달 하루 평균 거래량은 33.9㎏으로, 4월 20.4㎏보다 66% 증가했다. 올해 1~4월 사이 하루 평균 16~20㎏에 머물던 금 거래량이 이달 들어 급격하게 늘어났다. 대구은행의 월별 금 판매량은 올해 1월 0.1㎏에 그쳤던 것이 3월에 1㎏으로 늘었고, 지난달도 0.7㎏을 팔았다.
금값 상승과 함께 금에 대한 간접투자도 덩달아 관심을 받고 있다.
금 통장을 취급하는 신한은행과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의 계좌 수가 증가하고, 금 펀드 금액이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금 선호 현상은 최근 미중 무역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1분기 성장률이 하락하고, 환율 상승에다 화폐단위 조정(리디노미네애션) 얘기까지 나오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최근 경제적으로 불안심리가 확산되면서 일시적으로 자산가들의 금 구입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개인 투자자들은 금 거래에 따라붙는 판매수수료와 부가가치세, 향후 수익성 등을 고려해 투자를 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