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바람 좋은 풍경 예로부터 큰 볼거리 春風佳景古來觀(춘풍가경고래관)
달 아래 거문고도 그 운치가 어떠한가 月下彈琴亦一閑(월하탄금역일한)
술 마시면 근심 잊고 마음 확 트이는데 酒又忘憂情浩浩(주우망우정호호)
그대는 어찌하여 책벌레만 되려 하오 君何偏癖簡編間(군하편벽간편간)
예의와 법도가 펄펄 살아 뛰던 유교의 나라 조선에서도 진정으로 대화를 나누면서 오순도순 살았던 부부들이 있었다.{미암일기(眉巖日記)}의 저자로 유명한 미암 유희춘(柳希春: 1513-1577)과 그의 아내 송덕봉(宋德峰: 1521-1578)이 바로 그런 경우다. 그들은 서로 시를 지어 보여주기도 하고, 보여준 시에다 맞장구질 치는 화답시를 지으면서 놀기도 했다.
한번은 유희춘이 [지락음(至樂吟):지극한 즐거움에 대해 읊음]이라는 한시를 지어 아내에게 보여주었다. 꽃이 흐드러져도 꼭 볼 것 까진 없고/ 음악이 좋다 해도 내게는 시들하네/ 좋은 술 예쁜 여자 모두 다 흥미 없고/진짜로 즐거운 것은 책 읽는 일 뿐이라네(園花爛熳不須觀원화난만불수관/ 絲竹鏗鏘也等閑사죽갱장야등한/ 好酒妍姿無興味호주연자무흥미/ 眞腴惟在簡編間진유유재간편간)" 이 시에 의하면 유희춘은 봄날의 몽환적인 꽃구경이나 아름다운 음악, 맛있는 술과 어여쁜 여자들에 대해서는 영 흥미가 없었던 모양이다. 아마도 그는 인생의 지극한 즐거움이 오로지 책 읽는 데 있다고 생각한 '딸깍발이 선비님' 이었을 게다.
남편이 보여준 이 시를 읽고, 아내 송덕봉이 답장하는 시를 지어 맞장구질 쳤다. 위에서 소개한 작품이 바로 그것이다. 보다시피 아내는 '예쁜 여자에게도 영 흥미가 없다'고 말한 것만을 제외하고는, 남편의 견해에 대해서 낱낱이 다 반론을 펴고 있다. 다른 것들도 그 나름대로 아주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데, 오로지 책만 읽는 바보가 되어서야 되겠느냐는, 이유가 있는 문제 제기다. '인생의 스펙트럼을 확 넓혀서 조금 더 행복하게 살아보라'고 이렇게 넌지시 충고를 하고 있는 아내의 조언이 정말 따습다.
이 두 사람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 가운데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할까? 물론 사람마다 그 답이 다를 수도 있을 게다. 하지만 나는 아무런 망설임도 없이 송덕봉의 손을, 그야말로 '번쩍!' 들어주고 싶다. 물론 우리가 늘상 읽고 있는 책도 책이 아닌 것은 아니므로 당연히 열심히 읽어야 할 터. 하지만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이야말로, 꽃피고 새우는 자연이야말로, 음악이야말로, 술이야말로, 연애야말로 우리가 붉은 색연필로 밑줄을 굵게 그어가면서 정말 자세히 읽어야 할 진정한 의미의 살아 있는 책이 아니던가. 시조시인, 계명대 한문교육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