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무부가 국내 철강기업의 열연강판에 대한 관세율을 대폭 낮췄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수출부진과 '10일 조업정지' 등 악재가 잇따르던 철강업계의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14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한국산 열연강판에 대한 1차 연례재심에서 포스코 열연 제품에 적용할 상계관세(CVD)율을 기존 41.57%에서 0.55%로 대폭 인하했다.
현대제철은 예비판정 당시 3.95%의 상계관세를 받았지만 이번에 0.58%으로 인하됐다. 이 밖에 나머지 한국 업체는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중간 수준인 0.56%의 상계관세가 적용된다.
상계관세는 정부의 보조금이나 지원으로 가격을 낮춘 제품에 미국이 부과하는 관세를 말한다.
미국 상무부는 2016년 한국산 열연강판에 대한 원심에서 포스코 제품에 대해 58.68%의 상계관세를 물렸다.
그러나 지난달 1일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은 상계관세를 1차 연례재심 최종판정까지 한시적으로 17%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상무부가 고율의 상계관세를 산정하는 데 합당한 근거를 대지 못했다는 게 이유였다.
포스코 관계자는 "정부와 적극적으로 공조해서 이번에 상계관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며 "추후 반덤핑 관세도 좋은 결과가 나온다면 대(對)미국 수출을 재개할 여건이 마련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열연강판은 쇳물을 가공해 나온 평평한 판재 모양의 철강 반(半)제품인 슬래브를 고온으로 가열한 뒤 누르고 늘여서 두께를 얇게 만든 강판이다. 자동차용 강판, 강관재, 건축자재 등으로 주로 쓰인다.
지난해 열연강판의 대미 수출량은 47만7천t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