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데스크 칼럼] 다시 고개 드는 '추억의 감염병'

이석수 선임기자
이석수 선임기자

2002년 11월 중국 광둥성에서 발생한 중증호흡기증후군, 사스(SARS). 발열과 두통 등 감기와 비슷한 초기 증세를 보인 사스는 높은 치사율을 기록하며 몇 달 만에 중국 대륙을 넘어 인근 국가로 확산됐다. 중국에선 5천300여 명이 사스에 감염돼 349명이 숨졌다. 사스 감염을 두려워한 중국 의료진들이 도망치는 일까지 벌어졌다.

세계는 이 낯선 질병 공포에 떨었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사망자 없이 3명의 감염자만 발생해 국제사회로부터 '사스 예방 모범국'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주변국에 비해 한국인의 사스 감염 비율이 낮은 이유가 김치 때문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중국에선 한때 김치 열풍이 일기도 했다.

국내는 이듬해인 2004년 조류인플루엔자,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신종플루)라는 감염병이 유행했다. 그러다 2015년 5월 사스의 사촌 격인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가 터졌다. 공공이든 민간이든 여럿이 모이는 행사는 취소됐고, 학생들의 수학여행 추억까지 빼앗았다. 당시 전 국민이 메르스 공포에 시달리며 186명의 확진 환자와 38명의 사망자를 냈다.

사스는 세계적으로 8천여 명이 감염돼 그중 770여 명이 사망해 10% 가까운 치사율을 기록했다. 주로 중동지역이 발병 거점인 메르스는 치사율이 사스보다 최대 4배까지 높았다.

'인류의 역사는 전염병의 역사'라고 한다. 14, 15세기 흑사병 페스트가 휩쓸어 유럽을 중심으로 7천500만 명이 숨졌고, 1918년 처음 발생한 스페인독감은 2년에 걸쳐 최대 5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과거 역병이 돌았다하면 기본이 1천만 명 단위였다.

현대에 들어서도 1968년 홍콩독감으로 100만 명, 러시아 콜레라 80만 명, 2009년 신종플루가 20만 명의 사망자를 낳았다. 과거 전염병이라 불린 '감염 질환'은 새롭게 등장하고 있으며, 웬만한 전쟁보다 많은 희생자를 유발한다.

감염 질환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생명 복제가 가능한 만큼 과학적 진보를 이뤄내도 사스와 메르스 파동에서 드러나듯 전염병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홍역, 백일해, 소아마비 등 1950~80년대 예방백신 도입 이후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줄거나 퇴치 수준까지 갔던 '추억(?)의 감염병'이 국내외에서 재유행하며 고개를 들고 있다. 이들 국외 유입 감염병은 2010년 이후 해마다 400명 안팎으로 신고되다가 최근 1, 2년 새 급증세를 기록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퇴치 인증'을 받았던 홍역은 해외여행, 외국인 입국 등을 통한 국외 유입이 주원인으로 꼽힌다. 산발적 홍역 발생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며 언제든 토착화할 수 있어 경계를 늦출 수 없다는 게 보건 당국의 입장이다.

저개발 국가에서 많이 나타나는 A형 간염 환자도 올해 벌써 1만 명을 넘겼다. 취약 계층은 20~40대 환자라고 한다. 20대 이하는 A형 간염 예방백신 접종이 1997년부터 의무화되면서 항체를 지니고 있고, 50대 이상은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환경에서 자라 자연면역이 많다는 것.

지난해 말 대구 몇몇 종합병원은 홍역 환자로 홍역(?)을 치렀다.

이들 병원에 걸린 '동구 주민 분리 진료한다'는 플래카드를 보고 예방 분야 교수가 혀를 끌끌찼다. "동구 주민 떼놓는다고 홍역이 줄어들까요?"

깨끗한 환경이 면역에 취약하게 만든다는 '위생의 역설'이 추억의 질병을 소환하는 것이 아닐까? 백신 접종이 근본 예방법이라고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