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담대 이자율 1%p 내리면 분기 소비가 5만원 늘어난다"

한국은행 연구결과, 변동금리 대출은 분기당 8만원까지 소비 증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8일 서울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 인하 결정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8일 서울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 인하 결정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1%포인트(p) 내리면 돈을 빌린 사람들의 상환 부담이 줄어 이들의 신용카드 사용금액이 분기당 5만원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29일 발표한 '통화정책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주담대 금리가 떨어지고, 대출자의 이자상환액이 줄면서 소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2011년 3분기부터 2017년 3분기까지 한은 가계부채 자료에 있는 주담대 차입자 중 표본선택 과정을 통해 추출된 10만6천여 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이 같은 분석을 내놓았다. 앞서 2011년 6월 연 3.25%이던 기준금리는 2016년 6월 1.25%까지 낮아졌고, 주담대 금리(잔액 기준)는 2011년 2분기 5.17%에서 3.0%로 내렸다.

분석 결과 주담대 금리가 1%p 하락하면 차주의 신용카드 사용액은 분기당 평균 5만원 늘어났다. 이 가운데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경우엔 금리가 1%p 떨어지면 분기당 신용카드 사용액이 8만원 증가했다.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았다면 소비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금리 하락이 소비에 미치는 효과는 대출자 특성에 따라 달랐다. 연소득의 2.42배 이상으로 부채비율이 높은 대출자는 금리 인하가 소비보다 원금상환액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또 고소득자일수록 이자 상환액 감소가 소비 증가로 이어지는 효과가 작았다.

한은 경제연구원은 "기준금리 인하가 대출자의 소비 확대로 이어지는 현금 흐름이 작동하고 있다"면서도 "부채가 많은 대출자는 소비보다 원금 상환에 적극적인 만큼 확장적인 통화정책이 소비 확대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작동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