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쓰비시전기 등 日 차부품사, 10여년간 우리나라서 납품 담합

공정위, 4개 부품사에 과징금 92억원 부과하고 검찰 고발
일본 화이트리스트 배제 앞두고 대화 위해 발표 일시 연기하기도

미쓰비시전기 등 일본 4개 자동차부품 제조사가 국내 완성차업계에 부품을 팔면서 특정업체를 밀어주는 식으로 거래처를 나눠 먹기 한 사실이 적발돼 총 92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고 일부 업체는 검찰에 고발됐다. 이들 일본 기업은 글로벌 자동차부품사로서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유럽연합(EU) 등지에서도 담합 사실이 드러나 이미 제재를 받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현대차 등 국내 완성차업계에 얼터네이터, 점화코일을 판매하면서 특정업체를 서로 밀어주는 식으로 담합을 벌인 미쓰비시일렉트릭(이하 미쓰비시전기), 히타치오토모티브시스템스(이하 히타치), 덴소, 다이아몬드전기에 과징금 92억원을 부과했다. 미쓰비시전기와 히타치는 검찰에 고발했다.

얼터네이터는 엔진 구동으로 전력을 생산해 각종 전기장비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점화코일은 자동차 배터리의 저전압 전력을 고전압으로 승압시켜주는 자동차용 변압기다.

히타치와 덴소는 2004년 르노삼성의 QM5 모델에 적용되는 얼터네이터를 입찰할 때 미쓰비시전기가 공급할 수 있도록 견적 가격을 미쓰비시전기보다 높게 써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결과 QM5 모델이 2016년 단종될 때까지 미쓰비시전기의 얼터네이터가 장착됐다.

미쓰비시전기는 2007년 덴소가 현대차 그랜저 HG와 기아차 K7 VG 모델 등에 들어가는 얼터네이터를 공급할 수 있게 도와준 것으로 드러났다. 덴소 역시 2017년 이들 모델이 단종될 때까지 얼터네이터를 판매할 수 있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