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면서 미중 간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내 추가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연준이 최근 미중 무역전쟁 리스크가 커지는 데 대응해 금융여건을 완화하고 기업의 고용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중 통상갈등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어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일 3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추가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이어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추가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농산물 수입을 중단한다고 밝혔고 환율조작국 지정에 대해서도 반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연준은 지난달 30∼31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25∼2.50%에서 2.00∼2.25%로 0.25%포인트 낮췄다.
당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금리인하는 향후 경제적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보험성' 인하이며 장기 금리인하 사이클의 시작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인하가 반드시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도 아니라고 밝혀 추가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았다.
그간 공개적으로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하던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이후에도 트윗에 "기대를 저버렸다"며 추가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