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연합훈련 뒤 8월 말 북미 실무협상 가능성…고위급 회담 거쳐 긍정적 흐름땐 정상회담까지도

비핵화 최종단계 합의 관건

북한 조선중앙TV가 11일 전날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실시한 2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 장면을 사진으로 공개했다.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이
북한 조선중앙TV가 11일 전날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실시한 2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 장면을 사진으로 공개했다.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이 "새로운 무기가 나오게 되었다고 못내 기뻐하시며 커다란 만족을 표시하시였다"고 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수행 간부들과 발사를 마친 뒤 박수를 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자신에게 친서를 보내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종료되는 대로 협상 재개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혀 '6·30' 판문점 정상회동에도 한동안 주춤했던 북한과 미국간 비핵화 협상이 재개될 지 관심이 쏠린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김 위원장의 서신 내용을 공개했다. 김 위원장이 한미 연합군사훈련 종료를 대화 재개의 시점으로 잡아 비핵화 협상이 이르면 이달말 재개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미가 11일 시작한 '후반기 한미연합지휘소훈련'은 20일 종료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실무협상은 이달 말에라도 진행될 수 있어 보인다.

북한 외무성 권정근 미국담당 국장도 이날 담화에서 "이러한 대화는 조미(북미) 사이에 열리는 것이지 북남대화는 아니라는 것을 똑바로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이라 고 주장, 미국과의 대화 재개를 언급했다.

북미 정상은 지난 6월 30일 판문점 회동에서 '2∼3주 내' 실무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했지만, 북한이 한미연합군사훈련을 문제 삼으면서 지연돼 왔다.

한미는 늦어도 9월 초까지는 실무협상이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9월 하순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를 계기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리용호 북한 외무상 간이 만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것이다.

실무협상에는 미국에선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북한에선 김명길 전 베트남주재 대사가 각각 대표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실무협상에서 진전이 이뤄진다면 고위급회담은 제3차 북미정상회담을 준비하는 자리가 될 가능성이 있다. 실무협상과 고위급회담이 이어지는 등 북미 비핵화 협상이 본궤도에 오른다면 북미 3차 정상회담도 가시권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미국 대선(내년 11월) 일정을 고려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연내 3차 정상회담을 열고 '일정한 성과'를 거둔 뒤 이를 대선 국면에서 외교 업적으로 내세우려 할 것이라는 관측이 외교가에서는 제기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도 지난 4월 시정연설에서 3차 정상회담을 언급하며 "연말까지 미국의 용단을 지켜보겠다"고 밝힌 점도 연내 3차 정상회담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런 시나리오가 현실화하려면 일단 실무협상에서 진전이 이뤄져야 하는데 현재로선 전망이 불투명하다. 미국은 실무협상에서 비핵화 최종단계에 대해 우선 합의해야 하며,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모든 핵·미사일 프로그램이 동결돼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