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원금손실 DLF 절반 고령층에 팔았다…10명중 2명 투자 무경험

우리은행서 DLF 산 65세 이상, 평균투자액 2억 전액 손실 위기

금융감독원이 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의 주요 판매창구인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을 상대로 특별검사에 착수했다. 사진은 서울 우리은행 본점과 KEB하나은행 본점. 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의 주요 판매창구인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을 상대로 특별검사에 착수했다. 사진은 서울 우리은행 본점과 KEB하나은행 본점. 연합뉴스

은행들이 많게는 원금 전액 손실이 예상되는 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중 절반 가까이를 65세 이상 고령층에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DLF 매수자 10명 중 2명은 펀드 등 투자상품을 사본 적이 없는 예·적금 위주의 안정 성향 고객이었다. 고령층이나 투자 무경험 등 변수는 은행들이 DLF 같은 고위험 상품을 부적절하게 추천했을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현재 진행되는 금융당국의 검사와 분쟁조정 과정에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바른미래당 지상욱 의원에게 제출한 DLF 현황자료를 보면 이달 19일 기준 우리은행이 개인에 판매한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 DLF 잔액은 934억원이었다. 16일 기준 하나은행이 개인에 판매한 영국·미국 이자율스와프(CMS) 금리 연계 DLF 잔액은 3천488억원이었다. 우리은행은 영국·미국 CMS 금리 연계 DLF 상품도 팔았지만 이와 관련된 자료는 제출하지 않았다.

두 자료만 보면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개인에 판매한 독일과 영국·미국 금리 연계 DLF 상품은 4천422억원이다. 이 중 두 은행이 65세 이상 고령층에게 판매한 DLF 상품 잔액은 2천20억원으로 전체 금액의 45.7%다.

두 은행을 통해 문제의 DLF 상품을 사들인 개인고객은 총 2천43명이다. 이 중 65세 이상 고령층 고객은 768명이다. 해당 상품을 보유한 고객 10명 중 4명(37.6%)에 달한다.

고령층에게 고위험 상품은 통상 부적합 상품으로 분류된다. 특히 파생금융 상품의 경우 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고 원금 손실이 클 경우 복구할 수 있는 기대 여명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관점에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