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영양군민들의 통곡 "4차로 도로 좀 만들어 주이소"

지역 시민·사회단체 79곳 참여해 군민운동으로 확산
병원가려면 1시간 이동해야 하는 열약한 도로 여건 개선 필요

영양군민통곡위원회가 26일 경북 영양군청 앞에서 국도 31호선 개량을 촉구하며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영양군 제공
영양군민통곡위원회가 26일 경북 영양군청 앞에서 국도 31호선 개량을 촉구하며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영양군 제공

"경북 영양엔 전국에서 유일하게 OOO이 없습니다."

수년전 한 TV방송 프로그램에서 나온 퀴즈다. 이 문제의 정답은 '신호등'이다.

영양군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신호등이 없던 지자체였다.

최근 외곽도로 등 차량 소통이 늘면서 현재 2개의 신호등이 생겼지만, 여전히 없는 것이 있다. 바로 '4차로 도로'다.

이에 영양군 시민·사회단체들은 영양지역 최대 숙원사업인 '국도 31호선 확장 및 선형 개량' 추진을 위해 대정부 건의에 이어 군민운동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영양지역 79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국도 31호선 개량을 위한 영양군민통곡위원회'(이하 통곡위)는 26일 영양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영양군 서부리에서 청송군 월전리를 잇는 국도 31호선 16㎞ 구간에 대한 조속한 선형 개량을 촉구하고 나섰다.

경북 영양읍 서부리와 청송군 월전리를 잇는 16㎞ 구간의 국도 31호선은 곳곳의 낙석 위험 구간 및 커브길 등으로 사고 위험이 상존해 있다. 국도 31호선 영양읍 감천리 낙석 위험 구간. 엄재진 기자
경북 영양읍 서부리와 청송군 월전리를 잇는 16㎞ 구간의 국도 31호선은 곳곳의 낙석 위험 구간 및 커브길 등으로 사고 위험이 상존해 있다. 국도 31호선 영양읍 감천리 낙석 위험 구간. 엄재진 기자

낙후된 영양군의 도로 등 환경을 슬퍼해 군민들이 '통곡(痛哭)한다'는 의미에서 위원회 이름도 통곡위다.

이날 통곡위 참가단체 대표자들은 기자회견 이후 군민의 마음을 담은 호소문을 청와대와 국회, 정부 등 관계기관에 전달했다.

통곡위는 호소문에서 "영양군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4차로가 없는 지자체이며, 그마저도 낙석과 선형 불량 등으로 군민들은 안전에 심각한 위협을 받아왔다"고 했다. 이어 "옷 한 벌 사고 병원 한 번 가기 위해 인근 지자체까지 1시간 이상 가야하는 등 열악한 도로 여건이 영양군을 낙후지역과 오지라는 꼬리표에서 수십년 째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민들은 크게 분노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영양군은 올초 '상주~영덕 간 고속도로' 개통 효과를 누리고, 교통인프라 확충과 교통복지 향상을 위해서라도 31번 국도 청송군 진보면 월전리~영양읍 서부리 구간 16㎞에 대한 4차로 확장공사(공사비 2천억원 예상) 사업을 정부에 건의해 놓고 있다.

하지만, 청송에서 영양을 지나 봉화, 태백에 이르는 국도 31호선 구간 중 봉화 소천~태백 도계 구간(20.2㎞) 등 영양과 인접한 지역의 도로 개선 사업은 완료됐거나 순조롭게 진행 중이지만 영양지역을 지나는 구간은 개선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

경북 영양읍 서부리와 청송군 월전리를 잇는 16㎞ 구간의 국도 31호선은 곳곳의 낙석 위험 구간 및 커브길 등으로 사고 위험이 상존해 있다. 국도 31호선 영양읍 감천리 낙석 위험 구간. 엄재진 기자
경북 영양읍 서부리와 청송군 월전리를 잇는 16㎞ 구간의 국도 31호선은 곳곳의 낙석 위험 구간 및 커브길 등으로 사고 위험이 상존해 있다. 국도 31호선 영양읍 감천리 낙석 위험 구간. 엄재진 기자

신승배 통곡위 집행위원장은 "허울뿐인 균형발전정책은 지역이 소멸로 가는 길을 방치하고 있다"며 "영양의 생명줄과도 같은 국도 31호선이 하루 빨리 개선될 수 있도록 정치권과 정부가 함께 힘을 모아 달라"고 요청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