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구에 사는 20대 여성 A씨는 지난 7월 초 구매한 적이 없는 안마기가 결제됐다는 문자메시지를 받고 의아하게 생각해 콜센터로 전화를 걸었다. 상담원은 A씨에게 "명의가 도용된 것 같다. 경찰에 접수해주겠다"고 했고, 이후 전화를 걸어온 경찰은 "조사가 필요하다"며 A씨에게 원격제어 앱(팀뷰어 퀵서포트) 설치를 유도했다. 이를 통해 A씨의 휴대전화를 통제할 수 있게 된 범인은 원격제어 앱을 통해 직접 피해자의 휴대폰으로 은행 앱에 접속한 뒤 자신들의 대포통장 계좌로 1천400만원을 이체해갔다.

#지난 7월 중순, 50대 남성 B씨는 휴대전화로 날아온 대출광고 문자를 보고 전화를 걸었다. 상담원은 "B씨의 경우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지만 이를 위해 기존 채무 중 350만원을 상환해야 한다"고 했다. B씨는 금리 부담을 줄여보고자 급히 사채를 이용해 350만원을 빌린 뒤 상담원이 알려주는 대포통장으로 입금했다. 상담원은 다시 전화를 걸어와 "500만원을 추가 상환해야 대출받을 수 있다"고 했고, 사채를 해결하지 못할 불안감에 B씨는 다시 지인들에게 돈을 빌려 500만원을 범인들에게 송금했다.
보이스피싱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대구경찰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피해액은 11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3억)보다 2배 이상 늘었다. 발생 건수도 올 상반기는 642건으로, 지난해(520건)보다 123건(23.4%) 증가했다.
첨단기법을 동원해 날이 갈수록 진화하고 있는 범죄수법에다 '나는 아니겠지' 하는 시민들의 무관심이 더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과거에는 노인 피해자가 다수일만큼 수법이 어눌했지만, 지금은 의사·공무원·교사 등 전문직들도 속아 넘어갈 정도로 피해자의 연령과 직업 구분도 사라졌다.
이종섭 대구경찰청 수사2계장은 "수사기관을 빙자해 ▷원격제어 앱을 설치하라고 하거나 ▷OTP 비밀번호를 알려 달라고 요구할 경우, 대환대출을 핑계로 ▷대출전 비용납부 ▷기존 대출금을 해당 금융사 아닌 개인·법인 명의 계좌 상환 등을 요구할 때는 100% 보이스피싱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