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토정보공사가 4일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대구 서구)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지적불부합지는 전체 지적공부(地積公簿)상 3천753만183필지 중 14.8%인 553만5천971필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적으로는 615만3천966㎢, 여의도 면적(제방 안쪽과 둔지 합의 면적 4.5㎢)의 136만7천548배에 달한다.
지역별 지적불합지 비율로 보면, 광주가 전체 39만9천49필지(50만1천251㎢) 중 46.2%인 18만4천508필지(18만5천313㎢)로 전국에서 지적불부합지 비율이 가장 높다.
다음으로는 강원도(247만929필지, 1천661만3천284㎢ 중 29.5%인 72만9천129필지, 227만5천233㎢), 충북(221만9천629필지, 743만3천175㎢ 중 25.1%인 55만6천847필지, 56만5천993㎢), 제주(80만4천562필지, 184만8천728㎢ 중 24.9%인 20만273필지, 24만741㎢) 순이다.
지난 2012년부터 실시한 지적재조사사업을 통해 금년 8월말까지 총 943억3천500만원을 들여 재조사를 완료한 것은 54만7천342필지, 67만731㎢로 전체 재조사물량 중 10%선에 머물고 있다. 일제 때 만들어진 지적공부 중 지적불부합지의 90%가 아직 재조사도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는 의미다.
당초 정부는 매년 600~800억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지적재조사사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었지만, 매년 150억원 정도만 투입되어 속도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김 의원은 "과거 2005년 한 조사에 따르면 토지분쟁으로 인한 소송비용이 매년 3천8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는데, 지금과 같은 속도라면 앞으로 60년도 더 걸린다"며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진 토지공부가 더 이상 남아있지 않도록 국가적 자존심 회복 차원에서라도 보다 많은 예산을 투입해 하루속히 사업을 마무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