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박정희 사진의 숙청

정경훈 논설위원
정경훈 논설위원

'사진까지도 숙청된다.' 과거 공산 국가에서 숙청된 사람은 모든 기록물에서 사진까지도 삭제된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마오쩌둥(毛澤東) 사망 후 덩샤오핑(鄧小平)에게 숙청된 장칭(江靑) 등 4인방은 좋은 예다. 1976년 9월 18일 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마오의 추도식에 4인방을 포함한 20여 명의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참석했다. 이 장면은 중국 관영 신문에 실렸다. 그러나 4인방이 실각한 뒤 11월 이후 공개된 사진에는 4인방이 지워지고 그들이 서 있던 자리는 비어 있다. '포토샵'도 하지 않은 것이다. 새 권력은 4인방이 말 그대로 지워졌음을 천명한 것이다.

4인방도 그렇게 했다. 대약진운동이 시작된 1958년 베이징 시장이었던 펑전(彭眞)이 그 희생자다. 1958년 그가 마오와 함께 삽질을 하는 사진이 있는데 마오가 사망한 1976년 공개된 사진에는 그가 사라졌다. 펑은 4인방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던 1966년 숙청됐다.

볼셰비키는 그 선구자다. 1920년 모스크바 붉은 광장의 연단에서 폴란드로 출정하는 병사들에게 연설하는 레닌의 사진이 있다. 원본에는 레닌 곁에서 연설 차례를 기다리는 트로츠키와 카메네프가 있었는데 스탈린 집권 후에는 그들이 지워져 있다. 두 사람은 레닌 사후 권력을 놓고 스탈린과 경쟁하다 패배해 카메네프는 처형됐고 트로츠키는 스탈린이 보낸 자객에게 살해됐다.

스탈린의 충견으로 내무인민위원회(NKVD) 수장으로 있으면서 스탈린을 위해 68만여 명의 '반동분자'를 처형한 '피 칠갑을 한 난쟁이'(Bloody Dwarf, 키가 151㎝였다) 니콜라이 예조프도 같은 길을 갔다. 그가 스탈린과 함께 볼가강 운하를 따라 산책하는 사진이 있는데 숙청된 뒤에는 그가 지워져 있다.

구미시가 구미공단 설립 50주년을 맞아 제작한 홍보 영상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과의 관련 내용을 모조리 빼버렸다. 구미공단을 설계하고 만든 주인공을 지워버린 것이다. 시는 제작업체의 실수라고 하지만 두 차례의 시사회까지 한 것을 보면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지금 구미시장은 여당 소속으로 '박정희 지우기'를 추진해왔다. 제작업체의 '실수'는 그 일환으로 보인다. 과거 공산국가에서나 있었던 '사진 숙청'이 민주국가에서 버젓이 재연되는 개탄스러운 시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