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과 충청 등 우리나라 면적의 70%를 담당하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이하 2작전사)가 원자력발전소와 석유화학시설 등 핵심 산업시설에 대한 드론(Drone·무선전파 조종 무인 항공기) 공격에 사실상 무방비 상태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지난달 사우디아라비아의 대규모 원유생산·정유 시설 두 곳이 드론 공격을 받아 막대한 피해를 입은 가운데, 국군이 한울·월성·고리 등 국내 원전 상당수와 석유화학시설이 밀집된 2작전사 담당 지역에 대한 드론 공격에 더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17일 육군 제2작전사령부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문제를 집중 질타하고 나섰다.
질의에 나선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우디 정유시설에 구축된 최첨단 방어체계조차 소규모 드론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됐다는 점에서 이제 드론도 심각한 위험 요소로 규정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주영 자유한국당 의원은 "2작전사에는 드론 방어용 시스템이 아직 하나도 전력화되지 않았다"며 "2작전사 담당 지역에만 국가중요시설이 260여 곳, 군사중요시설이 190여 곳 있는데, 모두 드론 공격에 무방비로 방치돼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2작전사는 담당 구역 내 원전이나 석유화학공장 등 산업시설에 대한 드론공격을 가정한 훈련을 한 번도 진행한 적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현재까지 산업시설과 연계한 훈련을 한 적이 없고 계획만 했는데, 그마저도 석유화학이나 정유 쪽 공장은 없고 원전 관련 계획을 세운 것이 전부"라며 "2작전사 담당 지역에만 관련 시설 4곳이 있는 만큼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황인권 제2작전사령관은 "현재 북한은 무인기 10여 종, 수백 여대를 갖춰 300~700㎞까지는 운항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11월부터 드론 방어에 대한 다양한 전투실험을 벌일 계획이다. 사령부 차원에서 드론의 형태와 유형, 크기에 따른 개별적 대응 매뉴얼을 준비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는 후방을 담당하는 탓에 '재활용센터'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노후 장비가 많은 2작전사의 현실에 대한 질타도 쏟아졌다.
최재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해안레이더 69%, 열영상감시장비 2형은 58%나 수명을 초과하는 등 해안경계 장비의 노후가 심각하다. 북한 목선 1척이 군 감시를 피해 삼척항에 입항한 이른바 '목선 사태'의 재발이 우려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