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소기업 65.8% "주52시간제 따른 근로시간 단축 준비 안돼"

중기중앙회 설문조사…中企 58.4% "시행유예 필요"

현대중공업 협력사 대표들이 이달 14일 울산시청에서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연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대중공업 협력사 대표들이 이달 14일 울산시청에서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연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부터 주 52시간제가 적용되는 50~299인 중소기업의 65.8%는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준비가 덜 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4일 주 52시간제 적용에 직면한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 58.4%가 주 52시간제에 따른 근로시간 단축에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준비할 여건이 안된다'라고 한 기업 비율도 7.4%였다.

'준비 중'이라 한 기업 가운데 51.7%는 '시간 불충분'으로 올해 말까지 준비가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주 52시간제 시행 유예가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 비율도 58.4%에 달했다. 유예 기간으로는 '1년'이 52.7%로 가장 많았고 '3년 이상'(27.4%), '2년'(19.9%) 등이 뒤를 이었다.

주 52시간제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말에는 가장 많은 70.4%가 '근로자 추가 고용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을 꼽았다. 이어 '구인난 등 인력 부족'(34.4%), '조업일수 단축과 생산 차질'(33.8%) 등의 순이었다.

주52시간제 개선 방안으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 기간과 요건 개선'이 69.7%로 가장 많았다. '선택적 근로시간제 정산기간과 요건 개선'(24.2%), '재량 근로시간제 대상 업무 확대'(12.1%) 등도 뒤를 이었다.

한편 중소기업에서 주 52시간을 초과해 일하는 근로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59시간'으로 집계됐다. 주 52시간 초과근로 발생원인으로는 '업무 특성에 따른 불규칙적 업무 발생'(56.0%), '업무특성상 설비작동 중 중단 불가'(36.0%), '숙련인력 등 대체인력 채용 어려움'(20.9%), '구인난'(6.7%) 등이 꼽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