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보 개방 폭이 컸던 금강과 영산강에서 녹조 발생이 크게 감소한 반면 제한적으로 보를 개방한 낙동강에서는 녹조 발생이 증가했다고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이 20일 밝혔다.
올해 6∼9월 녹조 발생량(유해남조류 세포수 기준)은 보 개방 이전인 2013∼2017년의 같은 기간 평균과 비교했을 때 금강은 95%, 영산강은 97% 감소했다.
이는 2013년 보 건설 이후 7년 중 최저치다.
금강은 올해 6∼9월 유해남조류 세포수가 ㎖당 263개로, 같은 기간 5년 평균 4천800개보다 뚜렷하게 감소했다.
영산강도 5년 평균 ㎖당 4천693개에서 올해 162개로 줄었다.
반면 보 개방이 제한적이었던 낙동강에서는 올해 6∼9월 8개 보의 평균 녹조 발생이 2013∼2017년 같은 기간 평균 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의 올해 6∼9월 유해남조류 세포수는 ㎖당 평균 2만1천329개로, 5년 평균 1만6천210개를 크게 넘어섰다. 이는 보 건설 이후 2015년, 2018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에 해당한다.
환경부는 녹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보 개방의 영향을 받는 체류시간(유속) 외에 기온, 일조시간, 유량 등의 수문·기상학적 조건이 올해는 대체로 무난해 보 개방 효과를 확인하기에 적합했다고 설명했다.
낙동강에서는 상주·낙단·구미·칠곡보의 경우 개방하지 않았고 강정고령과 합천창녕보는 개방률이 각각 13%, 16% 수준이다.
달성(7%), 창녕함안보(5%)는 10%를 밑돌았다.
홍정기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장은 "4대강 보 개방이 녹조 저감에 효과가 크다는 것이 확인됐다"라며 "낙동강도 보 개방을 확대해 녹조 발생을 줄이는 등 4대강의 자연성 회복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