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하라 사망은 연쇄적 살인…여성혐오 문화 성찰해야"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시사 라디오 출연해 발언

가수 구하라의 빈소가 25일 오후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이곳은 팬들을 위한 빈소로 가족과 지인을 위한 빈소는 다른 병원에 마련됐다. 연합뉴스
가수 구하라의 빈소가 25일 오후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이곳은 팬들을 위한 빈소로 가족과 지인을 위한 빈소는 다른 병원에 마련됐다. 연합뉴스

가수 설리와 구하라가 연이어 극단적 선택을 하는 등 연예계에 비극적인 사건이 잇따르는 것과 관련해 한 사회학과 교수는 "(사망 원인을) 우울증이라고 환원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결국은 자신이 일상 속에서 저지른 가해행위에 대한 기본적인 성찰이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이는 연쇄적인 죽음이 아니라 연쇄적인 살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故구하라와 전 남자친구를 둘러싼 재판 과정에서 2차 가해가 있었다는 논란에 대해 "판사의 판결을 보니 아동성착취물 혹은 성학대물을 가지고 있었던 자, 유포했던 자들에 대해 일관되게 집행유예 판결을 내렸다"며 "여성에 대해서는 가혹한 처벌을 내리지만 여성에 대한 성범죄와 관련된 범죄행위들에 대해서는 유독 판사들이 굉장히 관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은 피해자인 구하라 씨에 더 집중하면서 가해자보다는 피해자를 거론하며 끊임없이 괴롭힌다"며 "이는 여성 연예인에 대한 이중의 취약성이다. 끊임없이 조롱하고 사생활을 계속해서 쫓고 언론은 보도를 하고 여성에 대한 품평을 하는 일반 악성댓글러들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라고도 꼬집었다.

이어 "피해를 입어도 피해자가 낙인화가 되는 이 현실에서 판사나 또는 형사 사법체계가 계속해서 가해자에 관용적인 태도를 취할 때 결국은 어떤 여성이 그 안에서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그러니까 결국은 죽음을 택할 수밖에 없다"고 봤다.

이에 대한 해결책과 관련해 "악성댓글에 문제가 있다고 하면 댓글을 차단하는 정책이나 법을 만들어야 된다고 얘기를 하지만 그건 굉장히 근시안적인 접근"이라며 "결국 남성이 성찰해야 되는 것이다. 남성의 일상이 여성혐오다. 여성에 대한 심오한 편견, 여성에 대한 구조적인 차별, 여성에 대한 폭력 이런 것들이 일상에서 일어나는데 남성들이 이게 문제라고 인식하고 그만두지 않는 한, 지금 우리가 얘기한 모든 대책들은 일시적이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