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문 대통령, 측근비리 엄정수사 검찰에 닦달하라

더하면 더했지 조금도 덜하지 않다. 문재인 대통령의 측근 비리를 박근혜 전 대통령 측근 비리와 견줬을 때 나오는 말이다. 조국 사태, 유재수 감찰 중단, 울산시장 하명 수사 의혹 등이 잇달아 불거지고 있다. 적폐를 청산한다며 전, 전전 정권까지의 비리는 샅샅이 캐더니 이보다 더한 적폐를 쌓고 있었다는 지적엔 눈을 감고 있다.

최근 의혹이 불거진 인물들은 하나같이 문 대통령의 측근들이다. 백원우 민주연구원 부원장은 노무현 대통령 시절 청와대 행정관으로,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민정비서관으로 일했다. 노 전 대통령 장례식 때 고함을 지르며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달려가다 제지를 당하자 문 대통령이 "껴안아 주고 싶은 심정이었다"고 했던 사람이다. 그가 넘긴 첩보 수사를 바탕으로 8전9기한 송철호 울산시장은 '문 대통령의 복심'이라 불리는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이 "문 대통령의 진짜 복심"이라 표현했다.

그런 대통령의 최측근들이 지금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그런데도 백 전 비서관은 부끄러워하기는커녕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 반발했다. "검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겠다"던 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지금 진술을 거부하며 검찰을 조롱하고 있다. 그 역시 절대다수 국민이 법무부 장관 임명은 안 된다고 외쳤음에도 문 대통령이 밀어붙였다. 대통령 측근들의 이런 자신감이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지 의아할 따름이다.

영원한 재야로 불리는 장기표 씨는 "박근혜에게는 최순실(최서원으로 개명)이 한 명이지만 문재인에게는 최순실이 열 명이 될 것"이라 했다. 지금 청와대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일련의 사태를 보면 이 진단은 조금도 틀리지 않아 보인다. 오죽하면 참여연대조차 진상조사와 명확한 설명을 요구했을까. 한국당은 이를 '친문 농단 게이트'로 규정했다.

그런데도 청와대와 여당이 공수처법 처리에 몰입하는 것은 그 의도를 의심받기에 충분하다. 공수처법이 통과되는 순간 문 대통령 주변에서 벌어지는 모든 권력형 비리 의혹 사건들은 유야무야 되기 십상이다. 이는 권력형 비리를 막기 위해 공수처를 설치해야 한다는 문 정부의 주장에도 정면으로 어긋난다. 정녕 당당하다면 문 대통령은 공수처가 아니라 검찰에 측근 비리 전모를 수사해 밝히도록 닦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