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近園) 김용준(金瑢俊)이 어느 날 골동품 가게에서 두꺼비 연적 하나를 샀다. '황갈색으로 검누른 유약을 내려 씌운 것인데, 연적으로서는 희한한 놈이다. 두꺼비로 치고 만든 모양이지만 완전한 두꺼비도 아니요, 또 개구리는 물론 아니다. 툭 튀어나온 눈깔과 떡 버티고 앉은 사지며 아무런 굴곡이 없는 몸뚱어리….'
두꺼비는 밤마다 그의 문갑 위에서 자는데, 가끔 자다 말고 두꺼비에게 말을 건다. "내가 왜 너를 사랑하는 줄 아느냐. 그 못 생긴 눈, 그 못 생긴 코, 그리고 그 못 생긴 입이며 다리며 몸뚱어리를 보고, 무슨 이유로 너를 사랑하는 줄 아느냐. 거기에는 오직 하나의 커다란 이유가 있다. 나는 고독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종이․붓․먹․벼루를 일러 '글방의 네 벗'이라고 한다. 연적은 거기에 들지 못한다. 하지만 빠져서 외면 받는 존재가 아니라 숨어서 사랑받고 아낌 받는 존재이다. 문방사우에 쏟는 옛 선비들의 품은 만만찮았다. 그 가운데 벼루는 오래 쓰기 때문에 사람에 비유하자면 조강지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연적은 다르다.
선비들은 품질보다 형태를 더 따지고, 만들고 싶은 모양대로 다 만들어 쓰다가 싫증이 나면 다른 모양으로 바꾸어 썼다. 마치 애첩의 말로 같다. 그 가운데서도 멋을 아는 묵객들의 애간장을 녹이는 것이 무릎 연적이라고 하였다. 그것은 장식이나 몸단장 하나 없이 그저 옴팡지게 솟은 언덕 모양으로 생겼다.
그것이 왜 사내들의 마음을 사로잡을까. 규중 새아씨의 부끄러운 무릎을 모방했기 때문이다.

벼루에 먹을 갈 때 쓸 물을 담아두는 그릇이 연적(硯滴)이다. 수적(水滴)․수주(水注)․수구(水礶)라고도 하는데, 주로 연상(硯床) 위에 놓고 실용적 목적으로 쓰인다. 물이 나오는 부위와 물과 공기가 들어가는 구멍을 두어 쉽게 물을 넣어서 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구멍을 내어 공기를 조절함으로써 떨어지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삼국시대 이래 벼루와 함께 사용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백자를 써서 연적을 만들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사대부들의 한묵정취(翰墨情趣)로 해서 더욱 발달되었다. 그 형태는 다양해서 갖가지 모양의 연적이 있다. 가락지형․반달형․거북이형․복숭아 연적․무릎 연적․상자나 통처럼 생긴 연적․주전자처럼 생긴 연적․원숭이 모양의 연적 등이 있다. 그 가운데 비교적 큰 것은 서재의 문갑이나 사방탁자 위에 얹어놓고 바라보는 완상용으로도 사랑받았다.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가 무릎 연적을 두고 읊은 시가 있다. '무릎 꿇은 네 모습 참 공손하고/ 눈썹과 눈 코 반듯하여라/ 종일 쳐다봐도 네 얼굴 싫지 않네.' 그윽하다. 그가 연적을 쓰다듬으며 뉘를 떠올렸을지는 말하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