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유네스코(UNESCO)에 제출한 세계유산 관련 보고서에 한반도 출신 징용 피해자의 강제 노역을 인정하거나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 유네스코로부터 징용 문제에 관한 요구받은 적이 없다고 3일 주장했다.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상은 이날 도쿄 외무성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유네스코에 제출한 보고서가 "2018년 제42회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이뤄진 결의 이행을 향한 진척 상황을 정리한 것"이라며 "그 안에서는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에 관해 보고를 요구받은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는 한국 정부의 인식과는 매우 차이가 있다. 또 2015년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등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이 세계 유산으로 등록되는 과정에서 일본 정부 측이 공언한 것과도 동떨어진 반응이다.
2015년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일본 정부 대표는 "(일본 정부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일본 산업시설 중) 몇몇 시설에서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0년대 많은 한국인과 다른 나라 사람들이 자신들의 의사에 반해 끌려와 가혹한 환경에서 일하기를 강요받았다(forced to work)는 것을 이해하게 하는 조치들을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모테기 외무상이 강제 노역, 강제 노동, 징용 등 여러 표현을 놔두고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고 언급한 것은 의도적인 용어 선택으로 풀이된다. 징용의 역사를 잘 모르는 제3국이 보면 '노동자'라는 표현은 마치 일본 정부가 노동력 제공의 대가로 통상적인 임금을 제공하기라도 한 것 같은 인상을 심을 가능성이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