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새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에 5선의 심재철(경기 안양동안을) 의원과 3선의 김재원(상주군위의성청송) 의원이 각각 당선되면서 국정은 물론 대구경북 지역 공천에도 변화가 올지 관심이 쏠린다.
국정과 관련해선 두 의원이 새롭게 한국당 원내사령탑에 입성하자마자 갑자기 기류가 급변했다.

우선 여권 주도로 9일 처리하려던 내년도 예산안과 관련해 여야 3당 간사회의가 극적으로 부활하면서 9일 만에 예산안 협의가 일정 부분 정상궤도에 올랐다.
심재철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을 만나 "청와대와 야당과의 관계가 잘 풀렸으면 좋겠다"고 제안했고, 강 수석은 "국회에 대화가 복원되길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여당인 민주당과 소수 야당도 앞다퉈 논평을 내고 심 신임 원내대표의 선출을 계기로 꽉 막힌 여야 협상 상황이 하루빨리 풀려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지역 의원들 사이에선 'TK 대학살' 등 이른바 공천 물갈이의 영남권 쏠림 기조가 변화되지 않을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황교안 대표와 궤를 달리하는 원내사령탑이 공천에 관여하겠다는 뜻을 천명하면서 혁신보단 안정성을 강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심 원내대표는 이날 "선수와 지역으로 공천에 부당함을 받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고, 김 정책위의장도 "여기 계신 여러분(의원)들이 수차례의 공천 개혁을 거쳐 (완성된) 분들"이라며 황교안 대표의 '혁신'에 다른 의견을 제시했다.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해 당내에서는 황교안 대표의 '친황(친황교안) 체제' 구축에 대한 반발, 즉 '반황'(反黃·반황교안) 심리가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또 기존 원내 지도부 '전략 부재' 비판 속에 그동안 전투력을 과시해온 심 의원과 전략가로 통하는 김 의원에게 그간의 경험과 연륜을 활용한 더욱 강력하고 확실한 대여 투쟁 및 협상을 기대하는 표심이 몰렸다는 분석도 있다.
심 원내대표는 당선 직후 인사말에서 "우리 당이 잘 싸우고 이 난국들을 잘 헤쳐나가기 위한 여러분의 미래에 대한 고심과 결단들이 이렇게 모였다"며 "앞으로도 겸허하게 당을 위해 헌신하겠다"고 밝혔다.
김 신임 정책위의장 역시 "지금까지 여당에서 저질러 온 여러 가지 이야기를 잘 알고 있다"며 "오늘부터 협상에 다시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의 임기는 20대 국회가 끝나는 내년 5월 29일까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