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현재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643만 여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14.9%를 차지한다. 한국 질병관리본부의 조사에 따르면 노인 인구의 절반가량이 영양결핍 상태에 있다. (2015년 기준)
식비 부족으로 적절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치아나 구강에 문제가 있어 음식을 먹는 데 지장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장기 기능감퇴로 인한 소화 장애로 영양 섭취가 부족한 경우도 있다. 영양소 섭취가 부족해지면 독감, 폐렴 같은 감염성 질환, 고지혈증과 같은 질환에 더 취약해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노인들이 급성 및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건강한 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과 함께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과일·채소를 많이 먹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사)농업으로 가꾸는 시민공동체가 2017년 도시농부 32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5%는 '텃밭을 가꾼 뒤로 야채 소비량이 매우 많이 늘었다'고 답했고, 32%는 '야채 소비량이 조금 늘었다'고 답했다. 텃밭을 가꾸면 제철 채소가 쏟아지기 때문에 저절로 많이 먹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연간 약 1조9000억 원의 예산을 취약계층 식품지원에 투입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이 중 80%가 현금보조 형태로 지원돼 농식품 구입 및 영양·건강 개선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고 추산한다.
외과 전문의이자 텃밭 예찬론자인 임재양 박사는 "국가가 복지정책 일환으로 취약계층을 상대로 농산품을 현물로 지원하는 것도 방법이겠지만, 집 근처에서 텃밭을 가꿈으로써 저소득 노인들의 건강을 지키고 국가의료비용 부담도 완화할 수 있다"고 말한다. 남구청이 추진하는 주택지 내 텃밭조성사업이 노인건강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