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해의 사자성어 '共命之鳥' 최재목 영남대 교수가 추천

“이념보다 삶이 우선…‘죽기 아니면 살기’ 이분법 대신 상생의 지혜 찾아나가야”

정상옥 동방대학원대학교 전임 총장이
정상옥 동방대학원대학교 전임 총장이 '공명지조'(共命之鳥)를 직접 휘호했다. 공명지조는 '아미타경'(阿彌陀經)을 비롯한 많은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한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로, 글자 그대로 '목숨을 함께 하는 새'다. 연합뉴스
최재목 영남대 교수. 매일신문DB
최재목 영남대 교수. 매일신문DB

교수들이 올 한 해 우리 사회를 표현하는 사자성어로 '공명지조(共命之鳥)'를 뽑았다.

교수신문이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9일까지 교수 1천46명으로 대상으로 이메일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장 많은 347명(33%·복수응답 허용)이 이를 선택했다.

공명조는 '아미타경(阿彌陀經)' 등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상상의 새다. 하나의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가졌는데 한 머리는 낮에, 다른 머리는 밤에 각각 일어난다. 한 머리는 몸을 위해 항상 좋은 열매를 챙겨 먹었는데, 다른 머리가 이를 질투했다. 다른 머리가 화가 난 나머지 어느 날 독이든 열매를 몰래 먹어버렸고, 결국 두 머리가 모두 죽게 됐다.

즉 서로가 어느 한 쪽이 없어지면 자기만 살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결국 공멸하게 되는 '운명공동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공명지조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추천한 최재목 영남대 교수(철학과)는 15일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수백 가지의 사자성어 중 그 시대를 꿰뚫어보는 눈동자이자 우리 사회의 아킬레스건을 말해주는 사자성어가 반드시 있다"며 "잘난 척하게 된 것 같아 쑥스럽지만, 직감적으로 선정될 것 같았다"고 했다. 최 교수는 2017년 교수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사자성어 '파사현정(破邪顯正·그릇된 것을 깨고 바른 것을 드러냄)'도 추천한 바 있다.

최 교수는 "'상생조', '공생조'라고도 하는 공명조는 몸은 하나인데 마음이 둘이다. 한 나라의 백성인데 두 가지 마음으로 쫙 갈라진 우리 현실과 흡사하다. 두 마음이기 때문에 화합이 쉽지 않다"고 꼬집었다.

이어 "우리 사회는 대단히 심각한 이념의 분열증세를 겪고 있다"며 "양 극단의 진영을 만들어 서로 적대시하며 혈전 중이다. 그러는 동안 모두 위험한 이분법적 원리주의자가 돼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이념보다 삶이 우선이다. 공명조가 노래하는 극락은 서로 다른 사상과 의견이 폴리포니(여러 성부로 된 음악)를 이루고, 각양각색·천차만별이 용서되면서 화합하는 곳"이라며 "공명조 전설을 통해 말하고 싶었던 것은, 분열된 우리 사회가 부디 대승적으로 상생의 지혜를 살려갔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공명지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300명(29%)의 선택을 받은 사자성어는 '어목혼주(魚目混珠)'였다. 물고기 눈(어목)이 진주와 섞였다는 뜻으로 가짜와 진짜가 마구 뒤섞여 있어 분간하기 힘든 상황을 나타냈다.

교수신문은 2001년부터 매년 교수 설문조사로 한 해를 상징하는 사자성어를 선정한다. 올해의 사자성어는 사자성어 후보 추천위원단이 낸 35개 가운데 최종 10개를 추려내 전국 교수들에게 설문하는 방식으로 선정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