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내년에도 '5만t 대북쌀지원' 계속 추진한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쌀구입비 270억원·모니터링 비용 1천177만달러 '이월' 처리키로

통일부가 국정감사를 앞두고 최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제출한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대북 지원용 쌀 포대(40kg) 샘플. 정부는 WFP를 통해 국내산 쌀 5만t을 북한에 지원할 계획이었으나 북한이 지난 7월 한미연합훈련을 이유로 돌연 수령 거부 의사를 밝힌 뒤 최종 입장을 확인하지 않고 있다. WFP 마크와 함께
통일부가 국정감사를 앞두고 최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제출한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대북 지원용 쌀 포대(40kg) 샘플. 정부는 WFP를 통해 국내산 쌀 5만t을 북한에 지원할 계획이었으나 북한이 지난 7월 한미연합훈련을 이유로 돌연 수령 거부 의사를 밝힌 뒤 최종 입장을 확인하지 않고 있다. WFP 마크와 함께 '대한민국'이 국·영문으로 표기돼 있다. 한국이 제공국이자 원산지라는 내용도 영문으로 적혀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올해 무산된 대북 쌀 지원 사업을 내년까지 연장해 추진할 전망이다.

통일부 측은 17일 정부가 최근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대북 5만t 쌀지원 사업을 내년에도 계속 추진하고, 사업비용은 이월 처리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의 식량 상황, WFP 입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 사업을 2020년에도 계속 유지하면서 조치·검토해나가는 계획을 수립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지난 6월 북한의 식량사정을 고려해 WFP를 통해 국내산 쌀 5만t을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남북협력기금에서 쌀 구매비용 270억 원과 수송 및 북한 내 분배·모니터링 비용 1천177만4천899달러 지출을 의결한 바 있다.

그러나 북한이 지난 7월 한미연합훈련 등을 문제 삼으며 쌀 수령을 거부하면서, 정부는 쌀 구매대금은 불용 처리하고 WFP에 송금된 수송 및 모니터링 비용 역시 회수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정부의 이번 조치로 WFP는 새해에도 북한 측과 쌀 지원 문제를 계속 협의할 수 있게 됐지만, 북한이 군사적 긴장 수위를 계속 끌어올리고 있어 일부에서 비판의 목소리도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