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영일만신항 인입철도 18일 개통… 항만배후단지 기업유치 활성화 견인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013년 11월 첫 삽 후 6년 만 개통… 총 사업비 1천696억원 투입

포항영일만신항 인입철도 준공전경. 국토부 제공
포항영일만신항 인입철도 준공전경. 국토부 제공
포항영일만신항 인입철도 준공전경. 국토부 제공
포항영일만신항 인입철도 준공전경. 국토부 제공

포항의 영일만신항 물동량을 견인할 항만 인입철도가 첫 삽을 뜬 지 6년 만에 개통한다.

도로 중심의 수송을 철도가 분담하면서 물류비 절감을 유도해 항만배후단지의 기업 유치 활성화 등 포항 영일만신항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18일 포항영일만신항 PICT 항만배후단지 내에서 포항영일만신항 인입철도(포항역∼포항영일만신항, 11.3㎞)의 개통식을 한다.

인입철도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양회, 석탄 등 자원과 컨테이너를 포함한 항만 물동량을 주요 간선철도로 수송하도록 이어주는 철도다. 포항영일만신항 인입철도는 지난 2013년 11월 착공했고, 사업비 1천696억원이 투입된 국책사업이다.

포항 지진 등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전문가와의 합동 조사 등을 통해 안전성 검증을 마쳤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영일만항 내에 건설된 철도수송장은 3만4천㎡ 면적에 유효장(대기 선로) 4개 선로와 기관차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차대 1기가 운용된다. 오는 2036년에는 부두에 하역된 컨테이너 19만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 일반화물 35만3천t 규모의 화물을 철송크레인(RMGC)으로 열차에 실어 운송할 예정이다.

임종일 국토부 철도건설과장은 "그동안 도로중심의 개별단위 물류 수송이었다면 항만의 물류수송을 전국 단위의 국가철도망과 연계함에 따라 대량 수송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울산∼포항 복선전철과 포항∼삼척 철도건설 미개통 구간, 포항∼동해 전철화 사업 등도 적기에 개통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