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에서 실질적으로 쓸 수 있는 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 계층의 소득증가율은 평균을 웃돌았지만 자영업자의 소득증가율은 평균을 하회했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천729만원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1.5% 오른 점을 고려하면 명목 처분가능소득에서 물가 상승률을 차감한 실질 처분가능소득은 줄었다. 처분가능소득은 전체 소득에서 세금, 사회보험금, 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빼고 가계가 실제로 소비하거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가계의 실질 처분가능소득 감소는 소비를 제외한 나머지 지출(비소비지출)이 많이 늘어난 탓이다. 지난해 평균 가구소득(5천828만원)은 전년보다 2.1% 증가해 물가상승률을 웃돌았다. 하지만 비소비지출(1천98만원)은 6.2% 증가해 소득증가율의 3배에 달했다.
비소비지출을 구성항목 별로 보면 이자비용(194만원)이 8.4% 증가했다. 공적연금과 사회보험료(338만원)가 5.0%, 세금(354만원)이 3.3% 증가했다. 친족 간 병원비 지원이나 가전제품 구입비 지원 같은 '가구 간 이전지출'(151만원)은 20.4% 급증했다.
특히 자영업자의 소득증가율이 정체됐다. 종사상 지위 별 소득통계를 보면 자영업자 가구의 소득은 6천375만원으로 0.2%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상용근로자 가구의 소득은 7천719만원으로 3.8% 증가했다.
소득 증가율은 최저 계층이 가장 높았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소득(1천104만원)이 4.4% 늘었고, 소득 상위 20%인 5분위 소득(1억3천754만원)은 1.7% 증가했다.
계층 간 보유자산 격차는 더 벌어졌다.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4억3천191만원으로 1년 전보다 2.7% 늘었다. 소득 5분위의 자산이 9억4천663만원으로 3.5% 늘어난 반면 1분위의 자산은 1억3천146만원으로 2.8% 감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