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앱 하나로 16개 은행 업무…오픈뱅킹 전면 시행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은행, 현금·경품 이벤트…시중은행 간편출금·바로이체
금융자산 비교 콘텐츠 제공

'오픈뱅킹'(Open Banking) 서비스가 18일 전면 시행됨에 따라 시중 은행들도 서비스와 상품을 재정비하고 고객 잡기에 나섰다. 연합뉴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여러 은행 업무가 가능한 오픈뱅킹(Open Banking)이 18일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갔다. 은행들은 고객 편의성을 높인 새로운 기능을 앞세워 고객 유치 경쟁에 나섰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결제원은 이날 서울에서 오픈뱅킹 서비스 출범 행사를 열었다. 지난 10월 30일 시범서비스를 시작한 10개 은행을 포함해 16개 은행과 핀테크 기업 31곳이 오픈뱅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씨티은행과 카카오뱅크는 내년에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오픈뱅킹이 전면적으로 도입되면서 은행들은 고객 잡기에 나섰다. 대구은행은 여러 은행 계좌에서 자금을 가져오는 '오픈뱅킹 금액 모으기'와 '이체 메뉴에서 출금계좌를 모두 보여주기' 서비스를 앞세워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에게 내년 1월 말까지 현금과 경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벌이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새로운 기능으로 고객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신한은행은 다른 은행 거래에서도 '간편앱출금'과 '바로이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뱅킹 기능을 개선했다. KB국민은행은 오픈뱅킹에 등록된 다른 은행 계좌의 출금과 조회를 '껐다 켰다(ON·OFF)' 하는 기능을 선보였다. 농협은행은 자신의 금융자산 수준을 연령대 지역별로 비교할 수 있는 '내 금융생활 비교'와 쇼핑·외식·여행 등 소비패턴을 분석한 '내 금융생활진단' 등의 콘텐츠를 출시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우체국 등 제2금융권으로 오픈뱅킹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현금자동입출금기(ATM)와 점포 등 오프라인 채널을 이용한 오픈뱅킹 서비스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