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신청사 입지를 결정할 대구 '시민참여단' 250명이 20일 동구 팔공산맥섬석유스호스텔에서 합숙에 들어갔다. 이들은 2박 3일간 합숙하며 숙의형 민주주의를 통한 입지 평가를 통해 오랫동안 대구시의 숙원이었던 신청사 입지를 결정하게 된다. 지난 2004년 시작돼 15년을 끌어온 신청사 건립 부지 논란이 이번 주말 종지부를 찍는 것이다. 시민참여단은 후보 지역과의 어떤 인연도 떨쳐버리고 역사적 사명감을 갖고, 대구시청 신청사 입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시민참여단은 대구시내 8개 구·군별로 무작위 표집한 29명씩 모두 232명, 여기에다 전문가 10명, 시민단체 8명이 더해져 총 250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2박 3일간 4개 후보지 현장을 답사하고 상징성·균형발전, 접근성, 토지적합성, 경제성 등 4개 세션, 7개 항목에 대한 토론 후 평가 점수를 매긴다. 이 점수에 과열유치행위에 대한 감점과 항목별 총점에 각각의 가중치를 곱하고 합산해 최고 득점 지역을 대구시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공론화위)가 신청사 입지로 발표한다.
그동안 대구시청 신청사 유치를 두고서는 기존 시청사가 있는 중구, 구 경북도청 터를 강조한 북구, 옛 두류정수장 유치를 희망하는 달서구와 달성군 화원읍을 내세운 달성군 등 4개 구·군이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다. 이들 유치 후보지들은 신청사 유치에 각각 지방자치단체의 미래를 걸었다. 제각각 호의적인 여론 조성을 위해 사활을 걸고 몸부림쳐 온 것이 사실이다.
경쟁이 치열했던 만큼 탈락한 지자체를 중심으로 후유증도 예상된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 가중치와 감점을 적용해 후폭풍이 우려되는 것은 사실이다. 지난 2008년 경북도청 이전 후보지 결정 당시는 11개 지역이 경합을 벌였지만 감점을 적용하지도 않았고 가중치도 적용 전후 순위 변동이 없었기에 더욱 그렇다.
평가 및 점수를 매기는 과정에서, 또 감점하고 가중치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이를 최고로 객관화해 공정성 시비를 줄이는 것은 공론화위의 몫이다. 공론화위는 투명하고 깔끔하게 절차를 밟고 그 후 어떤 결과가 나오든 각 지자체는 결과에 깨끗이 승복해야 한다. 이번 주말 탈락 지역 지자체장들이 오직 대구 발전을 위해 선정 지역에 박수를 보내는 대승적 자세를 주문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