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지방선거에 당선, 경북의 사령탑으로 취임해 1년 6개월을 보낸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연일 대구경북 통합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지사는 최근 대구의 한 정책토론회에서도 "대구경북이 과거처럼 대한민국을 이끌기 위해서는 반드시 통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구와 경북이 가진 각자의 장점을 살리고 대구경북 경쟁에 따른 부작용을 없애면서 아울러 나라를 이끄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대구경북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는 논리와 근거였다.
무엇보다 이 지사가 현직 단체장으로서 비판받을 여지가 큰 통합을 제안한 일은 평가할 만하다. 사실 대구경북 통합 문제는 지난 1991년 지방자치제 부활과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 선출 이후 마치 왕국처럼 변해버린, '소왕국' 같은 지역에 꽉 막힌 사고에서 벗어나 대구경북을 아우른 울타리에서 지역 미래를 고민하는 일이기도 했다. 1981년 대구경북이 나뉘고 지난 세월을 되돌아보면 대구경북이 직면한 제반 환경은 앞으로도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는 날로 심화되고 농촌·지방의 인구 감소, 고령화에 따른 인구·사회 구조 변화는 행정구역의 개편을 요구하지만 현실은 엇가고 있다. 시·군은 쪼그라들어도 공직 구조는 되레 늘거나 커지는 꼴이다. 대구경북의 소모적 경쟁에 따른 낭비 사례와 부작용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서로의 장점은 묻히고 불필요한 경쟁으로 힘을 헛쓰는 행정을 오늘의 분리 체제로는 충분히 고칠 수 없다.
다른 시·도와 달리 대구경북은 역사 문화 등 뭇 분야에 걸쳐 한 뿌리의 공동체로 이어진 독특한 곳이다. 비록 나라 정책과 정치적 결정으로 시·도 분리와 도청 이전이 됐지만 달라진 환경과 다가올 앞날을 따지면 대구경북의 통합은 분명 첫길이 될 수 있다. 이 지사 희망처럼 2022년 통합 대구경북 단체장 선출 같은 가시적 결과는 쉽지 않겠지만 통합의 틀을 짜는 밑그림 작업만큼은 당장 시작해도 나쁘지 않다. 나라 대신 우리 문제를 스스로 푸는 이런 충정의 행동은 빠를수록 좋고 다른 곳의 선례가 될 만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