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취임 후 3번째 특별사면 조치를 단행한 가운데 대상자 명단에 정치인들이 포함되면서 '총선 대비용', '내 편 챙기기' 논란이 일고 있다. 특별사면·복권·감형 대상자는 친노(親盧) 핵심이었던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 대표적인 진보 교육감이었던 곽노현 전 서울시 교육감, 민중 총궐기 폭력집회를 주도했던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을 포함한 5천174명이다.
정치적인 인물에 대한 사면 최소화 방침을 밝혔던 문재인 정부가 과거 기준에서 후퇴, 이 전 지사 등 이른바 자기 진영 우대용 사면을 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 전 지사의 경우 다가오는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간판으로 강원도 출마설이 흘러나온다. 이 전 지사는 2017년 사면 당시 "정치자금법 위반이어서 명단에서 배제했다"고 청와대가 밝혔으나 이번에는 사면 명단에 들어가면서 청와대 기준이 왜 갑자기 바뀌었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 전 지사는 2011년 1월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불법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 확정판결을 받으면서 지사직을 잃었고, 이후 2015년 유동천 제일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벌금 500만원 형을 받기도 했다.
문 대통령의 '사면권 행사 제한' 공약이 후퇴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뇌물·알선수재·알선수뢰·배임·횡령 등 5대 중대범죄로 형을 받은 사범들은 사면 대상에서 원칙적으로 배제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기 때문이다.
정치자금법 위반은 5대 중대범죄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금품을 받았다는 점에서 중대 범죄로 본다는 것이 법조계의 일반적 시각이다.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사면 대상자에 포함된 것 역시 총선을 앞두고 지지층 결집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내 편 챙기기, 촛불청구서에 대한 결재가 이번 특사의 본질"이라며 "정치자금법을 위반한 선거사범, 불법·폭력시위를 일삼은 정치시위꾼까지 사면대상에 포함했는데, 이는 법을 지키며 성실히 살아온 국민에게 자괴감을 안기고, 온갖 괴담을 만들고 대한민국을 흔들어 온 세력에게는 승전가를 울리게 한 특사"라고 꼬집었다.
한편 박근혜 전 대통령 주변 인사나 한명숙 전 국무총리,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은 이번 사면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야권에서는 신지호 전 새누리당 의원, 공성진 전 한나라당 의원이 대상에 들어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