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경북축산, 제2 도약을 준비하자

이희주 경북도 축산정책과장

이희주 경북도 축산정책과장
이희주 경북도 축산정책과장

정부는 축산물 소비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동물복지형 축산, 친환경축산물인증제,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 등 안전한 축산물 생산과 환경오염 최소화 등에 노력 중이다.

친환경축산물과 환경오염 최소화를 위해서는 축산 환경 개선이 우선이며 그 핵심이 가축분뇨의 적정한 처리다. 소비자들이 가축과 분뇨가 함께 공존하는 축사 실태를 눈으로 본다면 어떨까. 이제는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우리도 변해야 한다. 그것은 축분 처리의 패러다임 전환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정부와 축산농가의 핵심 과업이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 절감에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오직 하나 '분뇨 처리'다. 분뇨 처리는 축산농가에는 수익의 문제를 떠나 '생존'의 문제이다.

도내 3만3천 호 축산농가에서 소 74만 두, 돼지 150만 두, 닭 3천500만 수가 사육 중이며 여기서 배출되는 가축분뇨량은 연간 800만t에 이른다. 이 중 80% 이상이 퇴액비화 과정을 거쳐 토양에 환원되고 있다. 문제는 충분히 부숙시켜 양질의 퇴비를 만들려니 퇴비사 공간이 부족하고 퇴비사 공간을 늘리자니 인허가 등과 추가 설비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이에 따른 민원도 만만치 않다. 주변 민원으로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지 못하니 미부숙 퇴비가 농경지로 나갈 수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토양오염, 수질오염, 악취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공공처리장으로 보내려니 처리 용량 부족 등 사정이 여의치 않다. 한마디로 '가축분뇨의 수난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부터라도 축분 처리의 다양성 확보를 고민해야 한다. 일본의 육계업체와 농가에서는 축산분뇨의 에너지 가치를 확인하고 축분을 소각해 전기를 생산,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처리 과정에 악취로 인한 민원도 전혀 없고 분뇨를 발전소에서 수거해 처리해 주니 축분 처리 고민 없이 사육에 전념할 수 있다고 한다. 경북도는 경북형 축산분뇨 에너지화사업의 추진으로 축분 처리의 다양성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그 내용은 크게 축분 고체연료 생산 인프라 구축, 가축분뇨 열병합발전소 유치, 축산정보 빅데이터 관제센터 건립 등 3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축분 고체연료 생산 인프라 구축이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4년간 360억원의 자금을 투입, 200개소의 농가와 2개의 공동자원화센터에 축분고속건조발효기, 펠렛성형기, 저장 창고, 포장기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농가에서 48시간 내에 수분 20% 이하 부피가 75%까지 감소된 악취 없는 축분연료 분말이 생산되면 도내 공동자원화센터에서 수거해 펠렛 형태의 고체연료로 가공된다.

둘째, 축산분뇨 열병합발전소 유치이다. 경북도는 도내 축분 고체연료로 전소발전하는 발전용량 10~50㎿급 발전소 4기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발전소가 가동되면 공동자원화센터에서 생산된 30만t의 고체연료가 발전연료로 활용된다. 대규모 고정 수요처가 생기는 것이다.

셋째, 축산정보 빅데이터 관제센터 건립이다. 기존의 경험 축산에서 스마트 축산으로 축산정보 관리체계를 전환하고 노동생산성 향상을 도모해 나갈 예정이다. 2021년 센터 운영을 목표로 올해 100억원의 자금을 투입, 정보 수집 플랫폼 및 분석 알고리즘 개발과 빅데이터 관리요원 육성 등에 나설 계획이다. 경북은 축분 처리의 새로운 접근과 축산정보 빅데이터 활용으로 경북이 한국 미래 축산을 선도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함몰될 것인가, 아니면 변화의 물결을 탈 것인지, 우리의 현명한 선택과 결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