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 대학은 멸종위기종 아르마딜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코로나)의 잠재적 중간 숙주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화난(華南)농업대학은 7일 공식 위챗 계정에서 "아르마딜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잠재적 중간 숙주"라며 "이번 연구 결과가 신종코로나 예방과 통제에 중대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에선 멸종위기종인 아르마딜로가 보양에 좋다고 믿으며 이를 식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아르마딜로 보호 캠페인이 종종 열린다.
많은 과학자가 신종코로나는 야생동물을 통해 인간에게 옮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박쥐로부터 시작해 직접, 또는 중간 숙주가 되는 동물을 거쳐 인간으로 전파됐을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앞서 중국과학원 상하이파스퇴르연구소, 군사의학연구원 연구자들은 "박쥐가 신종코로나의 자연숙주일 가능성이 있다"며 "박쥐와 인간 사이를 매개하는 중간숙주가 있을 것"이라고 논문에서 주장한 바 있다.
이 연구자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공통 조상이 큰박쥐(fruit bat)에서 주로 발견되는 'HKU9-1 바이러스'라고 봤다.
중국 호흡기 질병 최고 권위자인 중난산(鐘南山) 중국공정원 원사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우한 화난수산시장에서 팔린 오소리, 대나무쥐 등 야생동물에서 인간으로 전염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
밍크나 뱀이 중간숙주로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다만 뱀의 중간숙주설은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비슷한 특성을 지닌 사스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은 모두 박쥐에 있던 바이러스가 각각 포유류인 사향고양이, 낙타를 거쳐 사람으로 전염됐다. 이와 달리 뱀은 파충류라 같은 바이러스의 중간숙주 역할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견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