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과 저물가로 인해 돈이 도는 속도가 느려지고 있으므로 기업친화 정책으로 경제활력을 키워야 한다는 견해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9일 '통화 유통속도 추이와 정책 시사점 분석'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총통화(M2·평잔기준)로 나눠 구한 '통화 유통 속도'는 2004년 0.98에서 2018년 0.72로 계속 하락했다.
세계은행 통계를 토대로 자료가 있는 OECD 16개국의 2018년 총통화 유통속도를 산출하니 우리나라가 하락률이 가장 컸다. 이어 폴란드, 영국, 헝가리, 일본 등 순이었다.
한경연은 소득이 증가할수록 현금보다 신용결제를 선호하게 되고 이는 화폐 보유 수요 감소와 유통속도 상승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 전략실장은 "만성 고혈압이 동맥경화를 심화시켜 건강을 위협하듯 경제활력 저하로 저성장·저물가가 이어지면 경제 기초체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성장 주체인 기업에 초점을 맞춰서 법인세 부담 완화와 투자·연구개발(R&D) 지원세제 강화, 노동시장 유연화, 규제 혁파 등 정책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