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24살이라는 늦은 나이에 전문대에 입학했기에 정말 취업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 걱정도 했습니다만 이제 졸업을 하면서 내 선택이 옳았다는 것을 증명한 셈입니다."
부산지역 국립대를 2학년에 접고 2017년 영진전문대(이하 영진)로 유턴한 김소민(26·컴퓨터정보계열 일본IT기업주문반) 씨는 올 4월 일본 기업 입사를 편안한 마음으로 기다리면서 졸업을 맞았다.
그는 지난해 일본 요코하마에 본사를 둔 ㈜에쿠사에 시스템엔지니어로 합격했다. 이 회사는 철강 사업을 하는 JFE스틸과 IBM의 자본 참여를 받아 금융, 제조, 유통, 카드 등 다양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회사다.
김 씨는 "영진에서 보낸 3년이 특별한 경험이었고 자신의 꿈을 이루는 소중한 기회였다" 고 회상하면서 "국립대를 자퇴하고 영진에 입학한 것을 단 한 번이라도 후회한 적이 없었다"고 했다.
같은 반을 졸업하며 글로벌 IT대기업인 소프트뱅크 취업이라는 꿈을 이뤄낸 김명종(27), 박언채(26) 씨 역시 4년제 대학을 포기한 케이스.
박 씨는 "대구권 4년제 대학 재학 중 군 복무를 하게 됐는데, 거기서 단 몇 줄의 코드(Code)만으로 주변 사람들을 편리하게 해 줄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고, 부대서 만나 영진 일본IT기업주문반을 다니는 친구를 통해 일본 취업반에 재입학 했답니다"면서 "더 이상 부모님께 걱정을 끼치지 않는 아들, 자랑스러운 아들이 되었다"며 기뻐했다.
김 씨 역시 군 복무를 마치고 지역 4년제 대학을 자퇴한 케이스. 그는 "다년간 일본 취업에서 성과를 낸 학과인 만큼 많은 노하우가 있었고 커리큘럼이 매우 잘 짜여져 있다"면서 "무엇보다도 공부 잘하는 학생과 부족한 학생이 스스로 팀을 꾸리고 서로 도와주는 활동 등 주변 친구가 경쟁자가 아닌 조력자로 함께 잘되자는 분위기가 매우 좋았고 독특했다"면서 영진에서 보낸 3년이 인생의 터닝포인트가 됐다고.
서보민(26) 씨 또한 지역 4년제 대학 식품공학전공에 입학했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영진으로 유턴해 일본 후쿠오카은행에 데이터 전문가로 합격했다.
그는 대학 입학을 앞둔 후배들에게 "무작정 대학교 선택보다는 자기가 하고 싶은 게 뭔지 거기에 맞는 학과 전공 선택을 권한다"면서도 "많은 것에 부딪혀 보다 보면 좋을 진로를 찾을 수도 있으니 용기를 내고, 자신의 원하는 길이 무엇인지 찾아 나서길 권한다"고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