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통합신당 이름은 '대통합신당' 16일 출범 목표

범보수 야권 통합 논의 가속 페달

범보수 진영의 '통합' 시계추가 빠르게 돌아가기 시작했다. 유승민 새로운보수당 보수재건위원장(대구 동을)의 '신설 합당' 제안을 자유한국당이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수용하기로 하면서다. 범보수는 물론 야권 시민단체까지 아우르는 통합신당 논의가 가속 페달을 밟는 양상이다.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신설합당은 통합신당준비위원회(통준위)를 통해 추진 중이지만 조속히 정당 간 협의도 마무리하겠다"며 "통준위에서 최종 결론을 내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그만큼 간절하고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국당은 오는 1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전국위원회를 열어 새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전진당)과의 합당을 결의한다. 3당은 신설 합당 수임기구를 출범시켜 법적 절차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수임기구 참여 인사로는 한국당에서 김상훈(대구 서구)·송언석 의원(김천) 등이 내정된 상태다.

정당 간 합당 논의와 더불어 혁신통합추진위원회(혁통위)의 통준위 발걸음도 빨라졌다.

그동안 한국당과의 당 대 당 통합 논의가 지지부진하자 통준위 참여 인사 발표를 미뤄온 새보수당이 적극적으로 돌아섰다.

통준위 공동위원장 자격으로 이날 회의에 모습을 나타낸 정병국 새보수당 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통합신당은 개혁보수"라며 "이기는 통합이 되기 위해서는 규모의 통합이 아닌 가치의 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통준위엔 원내 정당뿐 아니라 야권 시민 단체도 참여하고 있다. 통준위는 이날 회의에서 한국당과 새보수당 등이 참여하는 통합신당명을 '대통합신당'으로 하기로 잠정 결정했다.

박형준 공동위원장은 "잠정적이라는 건 한국당과 새보수당에서 한 번 더 당내 협의를 거친 후 최종적으로 확정하기로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통준위는 14일까지 공천관리위원회 운영 등을 결정한다. 대통합신당 출범식은 가능하면 16일 갖기로 했다.

통합 신당이 '보수 개혁'을 어떻게 실현하느냐는 과제다.

당장 친박(친박근혜)을 포함한 현역의원에 대한 컷오프(공천 배제)와 홍준표 전 대표, 김태호 전 경남도지사 등 거물급의 '험지' 차출 여부가 관심이다.

1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신당준비위원회 회의에서 박형준 공동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신당준비위원회 회의에서 박형준 공동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