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가 급속하게 늘면서 법원 행정처가 전국 지방법원에 휴정을 권고하고 또한 대구지방법원이 청사 출입을 엄격하게 하면서 지난달 대구의 경매 건수가 전달(1월)에 비해 20% 이상 줄었지만, 그 중에서 '보물'을 찾으려는 열기는 뜨거웠다.
지지옥션이 지날달 대구에서 진행된 경매를 용도별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주거시설 120건, 업무·상업시설 10건, 토지 25건 등이었다. 주거시설은 낙찰률 49.2%에 낙찰가율 89.4%를 보였고 토지는 각각 44.0%, 83.4%를 기록했다.
특히 10건 중 2건이 낙찰된 업무·상업시설 경우 낙찰가율이 78.7%로 전국 평균(61%)을 크게 웃돌았다. 낙찰가율은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경매에 나온 물건에 대한 투자 또는 소유가치가 높게 평가된 것으로 해석된다.
대구에서 최고 낙찰가를 보인 물건은 달성구 구지면 공장용지로 30억원(낙찰가율 60%)이었다. 달성군 논공읍 아파트는 25명이 몰려 최다 응찰자 수를 기록하며 치열한 경쟁이 펼쳐졌다.
경북은 거듭된 유찰로 낮아진 최저가에 물건 소화량은 늘었지만 낙찰가율은 크게 떨어졌다. 주거시설 낙찰가율은 67.3%로 전달에 비해 4%포인트 감소했고 충남, 강원에 이어 최하위권을 형성했다. 업무·상업시설(낙찰가율 54.8%)과 토지는(59.7%)도 낙찰가율은 전달에 비해 하락했다.
경주시 신평동 관광휴게시설은 282억원에 낙찰돼 경북은 물론 2월 전국 최고 낙찰가 물건에 올랐다. 구미 옥계동 아파트에는 40명이 응찰해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나 낙찰가율은 75%에 머물렀다.
88명이 입찰서를 제출, 2월 전국 최다 응찰자 수를 기록한 인천 구월동 아파트의 낙찰가율(119%)을 기록한 것과는 비교된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