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예방적 코호트 격리' 확진자 수 급감했지만…

경북도 9일부터 22일까지 도내 사회복지시설 565곳에 예방적 코호트 격리
봉화 푸른요양원 입소자 확진 60명으로 증가…1차 음성서 2차 양성 잇따라
확진자 나오면 오히려 피해가 더 커질 가능성 배제 못해

코호트격리에 들어간 경북 봉화군 노인요양시설의 문이 굳게 닫혀 있다. 봉화군 제공
코호트격리에 들어간 경북 봉화군 노인요양시설의 문이 굳게 닫혀 있다. 봉화군 제공

경북 도내 코로나19 추가 확진자 수가 사흘 연속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경북도가 코로나19의 지역 내 전파 차단을 위해 선제적으로 시행한 사회복지 생활시설의 코호트격리 조치가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15일 0시 기준 경북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보다 6명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경산 4명, 성주 2명 등이다. 경북에서는 지난 6일 신규 확진자가 122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12일 11명, 13일 5명, 14일 3명, 15일 6명 등이다.

앞서 경북에선 청도 대남병원을 시작으로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잇따랐다. 경산시 서린요양원에선 지난달 27일 요양보호사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2일까지 실시한 1차 전수검사에서 125명 중 양성이 12명으로 나타났다. 9·10일 양일간 실시한 2차 검사에선 32명 중 8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21명으로 증가하는 등 22명이 감염됐다.

경산 참좋은재가센터에서도 지난 3일 주간보호시설 이용자 2명이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13일까지 입소자와 종사자 등 53명에 대해 실시한 검사에서 14명이 양성으로 나타나 모두 1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경북에서는 이 밖에 칠곡군 장애인복지시설인 '밀알공동체'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온 바 있다. 이곳에선 지난 3일까지 총 25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경북도는 9일부터 22일까지 2주 동안 경북도 사회복지 생활시설 565곳에 예방적 코호트격리 조치를 취했다. 이에 따라 2만7천명 이상의 종사자와 입소자가 외출 없이 시설에 머무르고 있다. 코호트격리는 전염병 전파 가능성이 있는 환자와 의료진 등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 격리하는 방역 조치다.

하지만 불안 요인도 잠재하고 있다. 무증상 감염도 존재하는 탓에 격리시설 종사자들은 항상 살얼음을 걸어야 하는 초긴장 상태다.

실제로 지난 4일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벌어진 봉화 푸른요양원에선 음성 판정을 받고 격리 중이던 입소자들이 속속 확진 판정을 받아 확진자가 60명으로 증가했다. 음성 판정을 받은 사람들을 시설에 그대로 집단격리조치하면서 벌어진 결과라는 지적이 많다. 뒤늦게 음성 판정을 받고 푸른요양원에 격리중인 종사자와 입소자를 대상으로 전체 검체를 채취해 검사를 의뢰하는 등 조사에 나서고 있지만 확진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경산에서는 15일 노인요양시설 2곳에서 2명의 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발생해 누적 확진자가 총 8곳에서 67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집단감염이 있었던 요양원에서 생활하던 입소자들 중에 1차 검사 때 음성판정을 받았던 어르신들이 2차 검사에서 양성판정을 받는 경우도 잇따라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경산 한 요양원 관계자는 "무증상이지만 잠복기인 사람이 1명이라도 있다면 집단감염될까 봐 걱정"이라며 "코호트격리 이전에 입소자와 직원에 대한 전체 검체가 선행됐어야 한다"고 불안해 했다.

코호트격리 조치로 사회복지인력이 받을 피해를 지자체가 면밀히 파악해 보상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측은 "사회복지시설을 위험구역으로 지정하면 사회적 혐오 등 편견을 낳을 수 있다"며 "감염병 예방 선제조치는 필요하지만 전 기관을 대상으로 한 확대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